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빼어난양241
빼어난양241

박테리아가 항생제로 99.9프로만 죽게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박테리아는 항생제로 100프로는 죽일수가 없다고 하는데요 즉 99.9프로만 죽일수 있다고 하는데 그 이유가 무엇인지 알고 싶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박테리아는 끊임없이 변이를 일으키는데, 이 과정에서 우연히 항생제에 내성을 갖는 개체가 생겨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내성균은 항생제 치료에도 살아남아 번식하며, 결국 항생제가 듣지 않는 감염을 일으키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무열 수의사입니다.

    완벽하게 멸균되어있는 지 확인할 수 없어 보증이 불가능하기 때문입니다. 통상적으로, 살균의 경우는 약품 사용 시 99%의 감소율을 보일 때, 멸균의 경우는 약품 사용 시 99.9999%의 감소율을 보일 때 표기합니다.

    특히 언급하신 항생제의 경우는 멸균제가 아닌, 살균제로 생물학적 살균제에 해당합니다. 생물학적 살균제는 특정 세균에게만 살균효과가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어떤 조건을 갖추지 않았거나 혹은 내성이 생긴 균주에 대해서는 그 살균력이 쉽게 떨어지지요. 이 때문에 100% 살균을 보장했다가 감염증에 걸렸을 경우 의료사고나 다른 소송에 휘말릴 수 있기에 제조사나 취급하는 병,의원,동물병원에서는 해당 항생제를 사용 후 100% 살균이나 감염증 치료가 가능하다고 언급할 수 없습니다.

    다만, 항생제의 살균효과는 다른 화학적 살균제(에탄올, 헥시딘, 요오드)에 비해서 살균력은 떨어지지만 정상 세포에 대한 독성이 낮기 때문에 널리 쓰이지요.

  • 안녕하세요. 박온 전문가입니다.

    박테리아를 항생제로 100% 죽이지 못하는 이유는 내성을 가진 박테리아가 일부 살아남기 때문이에요. 박테리아는 시간이 지나면서 항생제에 적응하거나, 유전적 변이를 통해 저항력을 얻을 수 있죠. 그래서 항생제를 써도 완전히 죽이지 못하고, 소수의 박테리아가 살아남아 다시 번식하게 됩니다. 또 항생제가 몸 전체에 고르게 퍼지지 않거나, 일부 박테리아가 약물의 영향을 덜 받는 환경에 있을 수도 있어서 100% 사멸이 어렵죠. 

  • 안녕하세요. 홍성택 전문가입니다.

    일부 박테리아는 유전적 변이나 돌연변이를 통해 항생제에 대한 내성을 갖게 됩니다. 이들은 항생제의 작용을 피하거나 저항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므로 생존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전문가입니다.

    일부 박테리아는 유전적 변화를 통해 항생제에 저항하는 능력을 갖게 될 수 있어요. 이런 박테리아는 항생제에 의해 생존하고 번식할 수 있습니다.

    박테리아는 다양한 생존 전략을 가지고 있어, 일부는 항생제가 작용하는 환경에서 휴면 상태로 들어가거나, 항생제의 작용을 피하는 방식으로 살아남을 수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백찬양 전문가입니다.

    해당 항생제에 저항성을 갖고 있는 세균이 자연발생적으로 존재하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일종의 돌연변이인 것이지요. 그래서 99.9%라고 하는 것입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박테리아 종류마다 항생제이 대한 반응성은 다릅니다. 따라서, 99.9% 보다 낮을 확률이 존재하고요. 99.9%라는 숫자의 경우, 사실 100%의 확률을 보장할 수 없기 때문에 그렇게 표기할 수 있습니다. 왜냐면 박테리아의 경우에도 간혹 돌연변이개체가 존재하기 때문에 같은 박테리아라 할 지라도 반응성이 다를 가능성이 충분히 존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