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정책 이미지
경제정책경제
경제정책 이미지
경제정책경제
쌈박한오릭스46
쌈박한오릭스4623.05.22

부가세는 왜 모든 물건을 살때 붙는 건간요??

얼마전부터 영수증을 모아서 가계부를 쓰는데요. 보다 보니깐 물품가격에 부가가치세가 붙어서 나오드라고요. 부가세는 왜 모든 물건을 살때 붙는 건간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부가가치세란 상품(재화)의 거래나 서비스(용역)의 제공과정에서 얻어지는 부가가치(이윤)에 대하여 과세하는 세금이며, 사업자가 납부하는 부가가치세는 매출세액에서 매입세액을 차감하여 계산합니다.

    면세나 영세율품목에는 부가세가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정부는 세수가 있어야 정부를 운영할 수 있고

    사람과 사람간의 대부분의 거래에 이에 따라서

    부가가치세를 포함시키는 것이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부가가치세는 물건을 구입하시거나 서비스를 이용하시게 되는 경우에 붙게 되는 세금이라고 보시면 좋습니다. 다만, 이러한 부가가치세는 모든 물건에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의료사업이나 혹은 농축산업의 경우에는 부가가치세를 면제받는 경우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윤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대부분의 재화는 부가가치세가 부과되나 교육, 식품, 의료 등의 국민생활에 대한 필수 상품에 대해서는 면세가 되는 항목도 존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혜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부가세는 부가가치세입니다.

    국내 과세대상 소비에 10%가 과세되는 세금인데요. 질문자님 말씀대로 영수증에 VAT이라고 적혀있죠.

    집 밖 상점이나 온라인 구매 상품과 서비스 거의 대부분이 부가가치세 대상이 되는 상품입니다.

    부가가치세 과세 대상인 상품을 구매할 때, 물건 값에 포함이 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소비자가 납부를 하는

    소비로 인한 세금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결제 수단이 현금이거나 카드이거나 동일하구요.

    도움이 되셨기를 바라며, 도움이 되었다면 좋아요와 추천 부탁드립니다 ^^


  •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부가가치세(10%)는 법제화 하여 만든 세금입니다. 일부 업종을 제외하고 판매 가격에 10%가 붙어 실제 소비자가 부담해야 할 가격이 10% 늘어나게 됩니다. 취지는 모드 가치에는 세금을 메긴다는 것인데 2중 또는 3중 과세 이슈가 있어서 도입한 국가는 많지 않습니다.

    조세 저항이 만만치 않습니다. 다만, 한 번 도입한 국가는 훌륭한 세수원이 되기 때문에 유지하려는 경향이 짙습니다. 한국의 경우 지난 1977년 군사 정권에서 세수 마련을 위해 전격적으로 도입되어 현재까지 운영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