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가 식사할 때, 밥만 먹고 반찬을 잘 먹지 않는 경우는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아이랑 요즘에 밥을 먹게되면 속이 터집니다.
밥(쌀)은 먹는데 반찬에는 손도 대지않는 경우가 점점 늘어나고 있기때문입니다. 신경써서 뭘 좀 해주면 먹는 시늉이라도 해주면 덜 허탈할텐데요. 아이 걱정도 되고 저는 저대로 너무 속상합니다. 이럴땐 어떻게 해주면 좋은가요?
밥은먹고 반찬은 안먹는 경우에 부모님들은 너무 속상하죠. 이를 극복해내기 위해서 몇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먼저,아이가 반찬을 먹었을 때 칭찬해주고, 작은 보상을 주는겁니다. 예를 들어, "오늘 당근을 잘 먹었네! 정말 잘했어!"라고 말해주며 아이가 반찬을 먹을 때마다 스티커를 주고, 일정 수의 스티커를 모으면 특별한 보상을 주는 방식입니다.
두번째는, 아이가 식사준비 과정에 참여하여 직접 요리를 일부 해볼 수 있게합니다. 자신이 만든 요리라는 기억이 뇌에 강하게 남아 반찬을 먹게 할겁니다.
세번째로는, 반찬을 재미있는 모양이나 캐릭터로 꾸며주는 겁니다. 아이들이 흥미를 느끼고 먹고 싶어 할 수 있습니다. 물론 양은 처음에는 소량으로 주시는게 맞습니다.
1명 평가아이가 밥을 먹는데 반찬을 손을 대지 않는 편식 습관을 고치기 위해서는 아이가 지금하는 편식습관이 옳지 않다 라는 것 부터 알려주셔야 합니다.
그리고 왜 편식을 하지 않고 음식을 골고루 먹어야 하는지 그 이유를 정확하게 알려주셔야 해요.
또 아이가 먹지 않는 채소와 야채를 활용해서 다양한 음식을 만들어서 제공해 주시는 것도 방법이 되겠습니다.
1명 평가우리 아이들의 경우에는 그날 그날 식사를 하는 컨디션이 다르다고 보시면 됩니다. 밥만 먹고 반찬을 먹지 않는다고 하면 그날의 컨디션이 그렇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그런날에는 볶은밥을 준비해주시는것도 방법일 것 같습니다.
1명 평가편식은 대부분 아이들이 하는거 같아요.
이럴때는 다양한 방법이 있는데요
-아이와 함께 음식을 만들어 보세요.
아이가 흥미를 가지고 본인이 만든 음식을 맛보게 됩니다.
-안먹는 재료는 주로 먹는 음식에 섞어서.. 골고루 먹어보게 만듭니다.
아이가 반찬을 안먹는 요인은 여러가지가 있을수있으나
그중 입자의 불편함때문일수도 있습니다
입자가 굵거나 혹은 흐물하거나 본인의 입에 맞지 않아서 그럴수있기에 이러한부분을 체크해보시는것도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