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항적인 아이 어떻게 훈육하는 것이 좋을까요?
초등학교 4학년 남자아이입니다. 아이가 본인이 잘못을 하고도 지적을 하면 반항적인 태도를 보일 때가 많습니다. 어떻게 훈육하는 것이 좋을까요?
반항적인 아이를 어떻게 훈육해야 하는지가 궁금한 것 같습니다.
가급적이면 훈육을 하더라도 서로의 감정이 상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아이를 훈육할 때는 소리를 지르기보다는 친근한 어투로 말해야 합니다.
가장 우선적으로 해야 할 것은 아이의 마음을 읽어주는 것입니다.
그런 다음 관찰한 사실을 말해주고 양육자의 감정을 전달합니다.
마지막으로 '앞으로는 ○○행동은 하지 않았으면 좋겠어'라고 부탁을 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2명 평가안녕하세요. 최지웅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일관된 규칙 설정 및 그 결과를 명확히 하는 것이 좋습니다. 감정을 인정하면서도 바람직한 행동 모델링을 통해 긍정적인 방향으로 이끌어야 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가 본인이 잘못을 하고도 지적을 하면 반항을 하는 이유는
먼저 아이가 초등학교 4학년 이라면 아이가 현재 사춘기에 접어든 것은 아닌지 부터 파악을 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요즘 사춘기 시기가 빨라졌기 때문에 아이가 사춘기에 접어 들었다면 예민하고 민감하게 반응을 할 수 있겠습니다.
이때, 중요한 것은 아이의 감정을 들여다보고 아이의 감정을 돌보면서 대화적인 소통을 하는 것이 중요 하겠습니다.
그 다음은 아이에게 절대 지적, 비난, 질책을 하긴 보다는 아이가 잘못을 했다면 그 즉시 단호하게 지금 한 행동은 옳지 않아 라고 말을 해주고, 왜 지금 한 행동이 옳지 않았는지 그 이유에 대한 설명을 아이의 눈높이에 맞춰 잘 알려주면 좋을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의 주장을 인정하고 공감을 해주세요
하지만 이미 정해진 규칙을 따르고 지키는 것에 중요함에 대해서 말해 주세요
스스로 생각하고 판단할 수 있는 기회를 많이 제공하는 것이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임경희 보육교사입니다.
아이가 반항적인 태도를 보일경우 안좋은 태도를 교육하기 위해 훈육하는 것이 좋을듯 합니다. 훈육을 할때는 부모님의 개인적 감정(짜증, 화남)은 내려놓으시고 순수하게 아이의 잘못된 태도만 훈육을 해야 합니다. 차분하고 엄중한 목소리로 단호하고 짧게 훈육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반항적인 아이는 브모님께서 아이의 반항적인 행동에 무엇이 잘못인지 이야기해주고 고쳐나가게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