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노동
이런경우에 실업급여를 받을수있는지 궁금합니다
1. 2017년~2019년 7월까지 회사를 다녔습니다
2. 2019년 2월~7월까지는 산재로 인하여 병원생활을 했습니다
3. 7월에 산재가 끝난 후 회사를 자발적으로 퇴사 하여 실업급여를 받지 못했었습니다
4. 2020년 2월말~3월초에 다른곳에서 1~2주가량 계약직 근무를 하였고 계약 만료가 되었습니다
혹시 이런 경우에도 실업급여를 신청할수있는지 궁금합니다
1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현해광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산재요양기간은 피보험단위기간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2004-03-18,고용보험과-1229
- 실제로 근로하지 않은 산재요양기간에 대하여 사용자와 근로자간에 일정 금품의 지급에 대한 계약을 체결하였더라도 동 금품의 성격은 임금으로 볼 수 없을 것인 바, 회사에서 기본급을 주었으나 이는 소송제기를 통한 손해배상금으로 근로에 대가로 받은 임금이 아니고, 실제 근무한 사실이 없기에 피보험단위기간에 산입할 수 없음참고로 피보험단위기간에는 실제 근무일과 유급휴일만이 포함됩니다.
귀하의 경우 마지막 근로기간이 불분명하므로 관할 고용센터를 통해 정확한 피보험단위기간 및 수급 가능 여부를 문의하시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됩니다.
이상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