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 퇴직금 계산에 대해 알고 싶네요.
퇴직금 계산을 근무일수로 계산이 되나요??아니면 년으로 계산되나요??직장마다 다른가요??아니면 정해진건가요????
근로자퇴직급여 보장법에서 정한 기준(퇴직금=평균임금×30일×재직일수÷365일)보다 상회하여 지급하기만 한다면 법 위반으로 볼 수 없습니다.
안녕하세요? 손인도 노무사입니다.
귀 질의의 사실관계만으로는 명확히 판단이 어려우나, 퇴직금의 기본 계산식은 1일 평균임금 × 30(일) × (재직일수/365)으로 계산되며, 아래의 링크를 통해 직접 계산하실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기중 노무사입니다.
퇴직금은 재직일수 기준으로 산정합니다. 법으로 정해진 것이므로 직장마다 다르지 않습니다.
퇴직금은 1년 이상 근무하면 근무일수 단위로 계산됩니다. 퇴직금 산정공식은 '[(1일 평균임금 × 30일) × 총 계속근로기간] ÷ 365'입니다. 여기서 평균임금이란 산정해야하는 사유가 발생한 날 이전 3개월 동안에 해당 직원에게 지급된 임금의 총액을 그 기간의 총일수로 나눈 금액입니다.
안녕하세요. 이현영 노무사입니다.
법에 정해진 퇴직금 계산식은 아래와 같으며, 어느 회사든 해당 기준에 따라 산출된 퇴직금이 최소금액입니다.
-> 이직일 이전 3개월간의 평균임금 30일 * 근무일수/365일
따라서 근무일수에 비례하여 계산됩니다.
답변이 도움되셨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공인노무사 이현영 드림
안녕하세요. 김지수 노무사입니다.
실무적으로는 일수를 365일로 나누어 계산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답변이 도움되셨다면, 추천,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되세요.
퇴직금의 경우 퇴직금산정사유발생일을 기준으로 산정되며,구체적인 계산방식은 <평균임금 X 30 X 재직일수/365>입니다. 참고 바랍니다.
퇴직금은 근로자가 4주간을 평균하여 한주 15시간 이상 사업장에 고용되어 1년이상 근무하고 퇴사하면 발생을 합니다.
퇴직금은 연단위로 발생하는게 아닌 근로자의 재직일수만큼 지급이 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