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육아

양육·훈육

곰돌이푸와친구들
곰돌이푸와친구들

완벽주의적 성향은 왜 생기는 건가요?

완벽주의적 성향은 왜 생기는 건가요?

후천적으로 완벽주의적 성향이 생기는 건가요?

막 뭔가를 강요하는 부모나 주변인들 때문에 생기는 경우가 많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사람들마다 성향이 다릅니다.

    완벽주의를 추구하는 성향이 있는가 반면에 관계적인 면을 좀 더 추구하는 성향도 있습니다.

    완벽주의 성향은

    조건부 사랑의 경험, 비판적인 양육 태도, 사회적 비교와 문화적 압력, 자기보호기제, 높은 민감성과 책임감 등의 환경적인 요인으로 인해서 생길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유미선 보육교사입니다.

    완벽주의적 성향은 유전적으로 타고난 기질도 있을수있지만 자라온 환경에서의 부모의 기대 완벽추구 실수에대한 두려움등에의하여 더 단단해지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완벽주의 성향이 생기는 이유는

    첫째, 어린 시절의 환경 때문 입니다.

    어릴 때 부모나 교사가 너무 높은 기대를 요구했거나, 실수를 용납하지 않는 분위기에서 자랐다면 완벽주의 성향이

    강해질 수 있습니다.

    둘째, 사회적 비교 때문 입니다.

    SNS와 미디어를 통해 다른 사람들과 끊임없이 비교하면서 자기 자신이 부족하다고 느낄 수 있습니다.

    셋째, 인정욕구 때문 입니다.

    즉, 타인에게 인정을 받기 위해 완벽해지려는 심리가 적용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불안과 통제 욕구 때문 입니다. 실패를 두려워하고, 모든 상황을 통제하려는 경향이 완벽주의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강수성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타고난 성격이나 기질, 예민함, 꼼꼼함 등이 선천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후천적으로는 부모의 양육 태도와 가정 환경이 큰영향을 끼치기도 합니다. 부모가 자녀에게 높은 기대를 걸고, 실수나 실패를 용납하지 않거나, 칭찬과 사랑을 조건부로 제공하는 경우 아이가 완벽주의적 성향이 되기 쉽습니다. 또 학교, 사회, 또래 집단에서 성취와 경쟁을 강조하는 분위기 역시 완벽주의를 강화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완벽주의 성향은 유전적 기질과 후천적 환경이 함꼐 작용해 형성됩니다. 특히 어린 시절 부모나 교사 등 중요한 인물로부터 높은 기대, 비판, 조건부 사랑을 경험한 경우에 잘 나타납니다. '잘해야 사랑받는다'는 메시지를 반복적으로 받으면, 실수를 두려워하며 완벽을 추구하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