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단단한진도개281
단단한진도개28123.07.25

일본이 진주만 공습을 한 이유

일본이 미국의 강성함을 몰랐을리도 없고, 무모하게 가만히 있던 진주만을 공격한 진짜 이유가 무엇일까요? 실제로 미군을 이겼을거라고 생각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7.25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일본이 선택할 수 있는 세 가지 상황이 있었습니다.

    미국과 영국의 요구에 응하여 중국에서 철수하는 것.

    유류 부족이 군사력 약화를 가져올 때까지 기다리는 것.

    충돌을 확대하여 동남아시아의 자원 획득을 시도하는 것.

    일본은 마지막 상황을 선택하였습니다.

    일본은 12월 7일 항공모함을 동원해서 하와이의 진주만에 있던 미국의 태평양 함대를 기습적으로 공격했습니다.

    이 공격으로 미국은 전함 5척을 포함해서 19척의 배를 잃었다. 그리고 비행기 150대가 파괴되었으며 2,300명이 넘는 군인과 시민이 사망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훈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세계2차대전의 승리를 하기 위해서는 미국의 참전이 절실히 필요했던 처칠은 어떻게든 미국의 참전을 위해 노력했다. 그러나 세계1차대전으로 인해 수많은 젊은이들이 죽음으로 인하여 전쟁의 상처가 너무 컸기에 자국의 나라를 공격하지 않는한 참전을 꺼려하고 있었다.

    그때 일본은 빠른 시일내에 동남아시아 일대를 장악하기 위한 목적으로 미태평양함대를 무력화시킴으로 시간을 끌기 위해 진주만 공격을 가했다. 그로 인해 결국 미국은 세계2차대전에 참전하게 되고 독일과 일본은 결국 패전국이 되게 된다.


  • 안녕하세요. 안동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당시에는 조금 무모했지만 어쩌면 불가피 했을 선택이었을 수도 있습니다. 금방 점령할 줄 알았던 중국도 장기화가되고 그래서 군수물자가 필요했는데, 이를 미국이 막았습니다. 일본이 너무 팽창하니까 고철 석유 등 자원을 수출하지 않게 됩니다.

    근데 이대로 물러나기에는 엄청난 자금으로 전쟁을 계속 해왔고, 지금까지 이룬것도 많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믹국의 함대가 있는 진주만을 기습해서 이게 성공하면 미군의 전함이 무력화되고 일본은 동남아를 점령하고 나중에 전면전하지말고 평화협정해보자는 이런 느낌었습니다. 하지만 결론적으로 완전히 망해버렸죠.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미군 사령부가 필리핀에 주둔하고

    있으니 인도차이나 반도 침공에 가장

    큰 장애물이 되었다.

    그래서 결국 일본은 중·일전쟁의

    장기전에 대비하기 위해 진주만을

    공습하게 되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일본이 진주만 공습을 한 이유는 중일 전쟁 승리에 대한 자신감이 였습니다. 일본은 1931년 만주를 침략하고 그 여세를 몰아 1937년 중 일 전쟁을 일으켯습니다. 당시 일본군 수뇌부는 3개월 정도면 중국을 점령할 수 잇을것으로 판단했고 이러한 자신감이 결국 무모한 진주만 공습으로 이어진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