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기타 의료상담

느긋한돌고래111
느긋한돌고래111

노산에 대한 기준이 예나 지금이나 똑같나요?

성별
남성
나이대
30대

노산에 대한 기준이 예나 지금이나 똑같나요?

요즈음에는 출산시기도 굉장이 늦어져있잖아요?

옛날에는 30살이 노산이다.는 얘기들이 많았는데 요즘에도 똑같이 적용이 되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성주영 한의사입니다.

    올려주신 내용은 잘 읽어보았습니다. 노산에 대한 기준이 예전이나 지금이나 달라졌는지 궁금하신 것으로 보입니다. 문화적, 사회적으로는 노산에 대한 개념은 예전과 비교하면 많이 달라졌습니다. 예전 조선 시대에는 현재 고등학생 나이인 사람들이 결혼을 하고 자식을 가졌던 것처럼 사회적으로는 시대에 따라 노산에 대한 개념이 달라졌습니다. 요즘에는 결혼을 하고 아이를 낳는 평균 연령대가 높아졌기 때문에 30대 초반에 결혼하는 것이 오히려 빠르다고 느끼는 사람들도 종종 있습니다. 사회적으로는 노산에 대한 개념이 바뀌었지만 의학적으로는 우리 인체는 같기 때문에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만 35세 이상의 산모가 아이를 낳게 되는 것을 노산이라고 하며, 만 35세가 지나면 유산, 난임, 기형아 출산, 임신성 합병증 등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궁금한 내용에 조금이라도 답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무더운 여름이 곧 끝나가는데 건강 관리를 잘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최성훈 내과 전문의입니다.

    여러 요인으로 인해 사회로 진출이 늦어지면서 통계적으로 결혼, 임신, 출산의 나이도 같이 높아져 가고 있는데요.

    생물학적 나이에 따른 노화는 사회적 개념이 바뀐다고 해서 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노산의 기준은 동일하며 늦어지는 결혼으로 인해 난임이나 노산으로 인한 기형의 발생 가능성도 높아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결혼이 늦어질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 난자 동결이나 늦게 결혼을 했고 자연 임신이 어려운 경우 서둘러 시험관 시술 상담을 받을 것을 권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남희성 의사입니다.

    의학적인 노산의 기준은 만 35세입니다.

    이 의학적 기준은 예전이나 지금이나 변한적이 없구요.

    사회적인 보통의 출산 나이가 이전에는 빨랐고 지금은 늦어지고있지만 의학적인 기준이 바뀔 이유는 전혀 없겠습니다. 

    의학적인 기준은 가임력이 떨어지고 유산이 늘어나고 유전자 변이의 가능성이 빠르게 증가하기 시작하는 나이를 기준으로 하며 이런 신체적 변화는 그대로 적용되기 때문입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노산의 기준은 아직까지는 35세를 기준으로 잡고 있는데 이는 이전

    산부인과 연구들에서 35세 이전과 이후를 구분하여 35세 이후 산모들이

    임신 성 당뇨, 고혈압, 임신 중독증과 함께 조산 등의 합병증이 더 자주

    발생하는 소견을 보여 35세를 기준으로 하는 경향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