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내과

늠름한밀잠자리290
늠름한밀잠자리290

통증이 이동하는 양상을 보이는데 통풍 발작일까요?

성별
남성
나이대
45
복용중인 약
페브릭정40mg

재작년까지 1년에 한 번 정도 통풍 발작이 있어 혈액 검사를 해 보니 요산 수치가 8.6이 나왔고 올해 1월부터 페브릭정40mg을 복용하고 있습니다. 약 복용 후부터 술은 끊었고 원래 기름지거나 고기류는 많이 먹지 않는 편입니다. 5년 전부터 매일 1시간 전후 걷기 운동 하고 있고요. 정상 체중 유지하고 있습니다.

현재 페브릭정으로 복용한지 거의 6개월쯤 돼 가는데, 초기 복용했을 땐 수치가 3.5까지 떨어져 현재는 40mg을 반알로 먹고 있습니다.

이런 와중에 지지난 주쯤부터 오른쪽 허벅지 뒤쪽이 간헐적으로 찌릿한 증상이 생겼습니다. 앉으나 서나 누우나 상관없이 랜덤하게 짧게 찌릿한 찌르는 느낌 같은 게 있어 덱시부루펜 일주일 정도 복용하니 사라졌습니다. 초기 며칠 동안은 약을 먹어도 증상의 호전이 별로 없었습니다. 약 복용 중에 걷기는 중단했고요.

증상이 사라지고 약 끊으니 곧바로 그 아래 오른쪽 무릎이 가볍게 욱신거리는 증상이 생겼는데 이번엔 약 복용하지 않고 놔두니 이틀만에 없어졌습니다. 그리고 그 다음날 이번엔 오른쪽 발바닥 발가락 바로 아래 부분에 가벼운 통증이 생겼습니다.

이 부위는 예전에 통풍 발작이 있었던 부위로 발작 초기의 통증과 같은 것 같습니다. 만지거나 부위가 지면에 닿으면 근육통 느낌으로 가볍게 아프다던가 말이죠.

허벅지, 무릎, 발바닥 모두 통증 자체는 약한 편이지만 부위가 바로바로 변하면서 증상이 나타나니 신경이 쓰입니다. 이 증상은 요산이 체내를 이동하면서 생기는 통풍 발작의 일종인가요? 이걸 어떻게 치료해야 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성훈 내과 전문의입니다.

    현재 요산 저하제를 복용하며 혈중 요산 수치는 조절되고 있고 생활 습관 관리도 꾸준히 잘 되고 있는 상태로 통풍의 가능성은 낮아 보입니다.

    증상이 반복된다면 정형외과 진찰을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신성현 내과 전문의입니다.

    현재 겪고 있는 통증이 이동하는 양상과 과거 통풍 발작 경험을 고려할 때, 요산 수치와 관련된 통풍 발작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통풍은 요산 결정이 관절에 축적되면서 염증과 통증을 유발하는 질환으로, 다양한 부위에 통증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페브릭정을 복용하여 요산 수치를 조절하고 있는 만큼, 통풍 발작이 발생할 확률이 줄어들지만, 여전히 약간의 요산 결정이 남아 있을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통증이 간헐적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허벅지, 무릎, 발바닥 등의 부위에 통증이 나타나는 것은 요산 결정이 이동하면서 염증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통풍 발작은 보통 한 부위에 집중적으로 발생하지만, 요산 결정이 여러 관절에 영향을 미칠 수 있어 다양한 부위에 통증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통증이 지속되거나 심해진다면 전문의를 찾아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현재 복용 중인 페브릭정의 용량을 조절하고, 통증이 있는 부위에 염증을 줄이기 위한 항염증제를 사용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덱시부루펜과 같은 항염증제는 일시적인 통증 완화에 도움이 될 수 있지만, 장기적인 해결책은 아닙니다. 추가적으로, 체내 요산 수치를 꾸준히 모니터링하고, 통풍 발작이 재발하지 않도록 식이요법과 생활습관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알코올 섭취를 피하고, 퓨린이 많이 함유된 음식(붉은 고기, 해산물 등)을 제한하며, 충분한 수분 섭취를 통해 요산 배출을 돕는 것이 좋습니다

    1명 평가
PC용 아하 앱 설치 권유 팝업 이미지장도연이 추천하는 아하! 앱으로 편리하게 사용해 보세요.
starbucks
앱 설치하고 미션 완료하면 커피 기프티콘을 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