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 갱신형과 비갱신형 질문드립니다.
보험을 확인해 보니깐
3년주기 갱션형인데
3년 5년 비갱신 이렇게 따졌을때 당연히 비갱신형이 좋긴하겠죠
근데 처음부터 보험을 들때 비갱신형은 금액이 비싸고 쭉 비갱신으로 갈텐데요
이 비용과 3년 5년 주기 갱신형과 봤을때 어떤게 유리한지 질문드립니다.
전문 보험사분이 봤을때 예를 들어 같은 보장에 40세에 3만원으로 시작해 80세에 20만원인거랑
쭉 7~8만원으로 80세 했을때 보통 상품비교를 해보면 보장과 비용을 보면 어떤걸 본인 보험을 들때 보험드시는지 질문드리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상미 보험전문가입니다.
저는 갱신과 비갱신을 병행해서 설계하는 게 좋다고 생각합니다.
보험은 시대를 반영하기 때문에
가성비 좋게 갱신형으로 하면서
시대에 맞게 보험을 교체하는게 좋은데요.
단, 보상이력이 발생하면 보험을 교체할 때 인수거절이 나올 수 있는 점을 고려해야 합니다.
결론적으로 말하자면...
갱신과 비갱신을 함께 준비하는게 효과적입니다.
안녕하세요. 이대길 보험전문가입니다.
비갱신형 보험은 초기 비용이 높지만, 이후 보험료가 변동하지 않아서 장기적으로 안정적입니다. 반면, 갱신형 보험은 초기 보험료가 저렴하지만 갱신 주기마다 보험료가 상승할 수 있어 장기적으로 더 많은 비용이 들 수 있습니다. 40세 기준으로 3만원 시작해 80세까지 20만원으로 가는 상품은 장기적으로 보험료 부담이 커질 수 있습니다. 결국, 어떤 보험이 유리한지는 보장의 안정성과 보험료 상승 가능성을 고려해 장기적인 비용을 따져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암보험인 경우 암이 일찍걸리면 갱신이 좋고 아니면 비갱신이겠죠
20대-30대가 아니면 갱신형을 추천하는 편입니다
안녕하세요. 문효상 보험전문가입니다.
젊은사람들은 비갱신형이 유리합니다.
비갱신형 자체는 초반는 좀 비싸지만 정해진 기간만 내면 되지만
갱신형은 보장받는 전기간 내야 합니다..
또한 갱신형은 순수보장형이죠.
안녕하세요. 이선희 보험전문가입니다.
40대라면 비갱신형을 추천합니다.
소득이 있고 젊을 때 비갱신형을,나이가 있어 보험료가 부담스러울 경우 갱신형은 만기까지 갱신된 보험료로 계속 납부해야 하는 전기납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원태 보험전문가입니다.
보통은 비갱신형으로 일정기간 납입하고 100세나 90세만기로 가입을 권하기도 합니다 요즘은 거의 100세만기 2년납이나 30년납으로 가입을 하면 그기간동인 보험료를 납입한후 노후에는 보장만 보면 됩니다 물론 갱신형보단 보험료가 다소 비쌉니다 갱신형은 보험료 변동과 병생 납입을 해야 보장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권태민 보험전문가입니다.
갱신형 비갱신형 두 가지 전부 장단점이 있습니다.
질문하신것처럼 비갱신형은 보장기간까지의 보험료를 산출하여 납부기간에 몰아서 내는것이기에 초기 보험료가 높은편입니다.
갱신형은 해당 구간만 보험료를 산출하기에 낮지만 갱신할때마다 보험료를 납부해야하는 단점이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한가지 종류로만 보험을 설계하는 것이 아닌 갱신과 비갱신을 섞는 것이 좋습니다.
비갱신형으로 뼈대를 세우고 갱신형으로 다른 부분을 보완하는 방향으로 수술비, 후유장애, 골절 등 수시로 받을 수 있는 담보들은 비갱신형, 1회만 받을 수 있고, 보장 범위가 조금씩 달라질 수 있는 진단금같은 경우는 갱신형을 추천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정훈용 보험전문가입니다.
비갱신형이 낫다고 봅니다.
두 가지상품을 단적으로 비교해보겠습니다.
암진단비 5천만원 40세 남성 가정
20년 갱신형상품 3만원
20년납 100세만기 비갱신형 6만원
비갱신형의 경우 >> 60,000*240(회차) = 14,400,000원
60세까지 납입후 100세까지 40년간 보장만 받으면 됨.
갱신형 20년 3만원
20년간 720만원
60세에 갱신, 20년 또 다시 납입 60세에 5만원으로 갱신되었다고 가정.
20년간 1,200만원 납입.
갱신형은 40년을 납입하게 되면서 이미 비갱신형 상품보다 더 많은 납입보험료를 내게 됩니다.
그런데 80세에 또 갱신을 하고 100세까지 납입해야죠
문제는 뭐냐,
중간에 갱신형 보험이 납입을 못 하게 되면 보장을 못 받게 됩니다.
그런데 비갱신형은? 이미 납입이 완료가 되었기 때문에 마음편하게 보장만 받으면 되는거구요.
여기서 부족하다고 느끼면 갱신형으로 추가가입을 하더라도 보험료 부담이 적고, 기존에 갱신형을 해지하더라도 이미 비갱신형의 보장이 남아있기 때문에 무보험이 아닙니다.
반면에 갱신형은 해지하는 순간 무보험 상태가 되기 때문에 위험도가 더 높아지게 됩니다.
위험보장을 받기 위해서 보험을 가입하는건데,
갱신형의 경우 추후 발생하게 되는 위험의 크기가 증폭하기 때문에 비갱신형의 보장설계는 필수적이라고 생각이 듭니다.
안녕하세요. 박경태 보험전문가입니다.
저는 갱신형보다는 비갱신형으로 가입하는 편이며 많은 분들에게도 비갱신형을 권해드립니다. 다만 본인이 짧은 기간 보장을 받고자 한다면 갱신형이 나을 수 있지만 대부분은 장기간 보장을 받기 원하므로 비갱신형이 좋겠습니다.
고정지출은 변동되는 것보다는 일정하게 유지되어야 저축 소비에 대한 재무플랜을 짤 때 유리합니다. 초기에는 갱신형이 저렴하기 때문에 나가는 것이 덜하고 모이는 것이 나을 수 있겠지만 장기적으로는 향후에 고정지출에 보험료가 나가는 비율이 높아지게 되면 그만 보장성보험 5%, 저축성 보험 5%를 유지하기 위해서 보험료가 갱신되어 오르는만큼 더 많은 소득을 늘려나가야 합니다. 대신에 비갱신형은 초회 보험료가 비싸더라도 내 월 소득에서 보장성보험 5%, 저축성보험 5%에 균형을 꾸준하게 맞추어갈 수 있어서 재무플랜을 짜기가 용이하기가 40대 이후로는 소비지출의 범위가 많아지기 때문에 소득을 늘리더라도 저축 소비에 대한 균형을 맞추기가 쉽지 않은데 보험에서 고정지출의 비중이 꾸준하다면 맞추기가 유리하기 때문에 장기적으로 봐서는 비갱신형이 갱신형보다는 낫습니다.
안녕하세요. 마희열 보험전문가입니다.
갱신형과 비갱신형은 서로 장단점이 있습니다,
이렇게 생각하시면 되세요.
병이 보험 가입이후 조기에 발병한다면 갱신형이 유리하고
병이 보험 가입이후 나중에 발병한다면 비갱신형이 유리합니다,
또한 갱신형은 같은 보장 금액 조건하에서 초기 보험료는 저렴하지만 갱신시
보험료 인상과 더불어 계속적으로 보험료 납입의 부담이 있구요.
비 갱신형은 같은 보장 금액 조건하에서 초기 보험료는 비싸지만 갱신이 없고
보험료 납입기간 동안만 보험료 납입하고 보장 기간까지 보장을 받으심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