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체의 진화적인 질문이요 남자는 왜 아직 젖꼭지가 있죠?
여자의 젖꼭지는 아이의 젖을 물리기 위함이라는 분명한 쓰임이 있는데 왜 남자도 젖꼭지가 없어지지 않고 계속 있는걸까요? 아니면 다른 기능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질문해주신 “남성에게 젖꼭지가 왜 존재하는가?”에 대해서 답변드리자면 인간을 포함한 포유류 배아는 초기 발달 단계에서 성별이 구분되기 전에 동일한 기본 설계도를 따르기 때문인데요, 즉 젖꼭지는 배아가 성별을 구별하기 전에 이미 형성되는 구조 중 하나이기 때문에, 즉 남녀 모두 공통된 기본 청사진으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남성에게도 젖꼭지가 남게 되는 것입니다. 이후 성호르몬(안드로겐, 에스트로겐)의 영향으로 생식기관이 분화하지만, 이미 형성된 젖꼭지는 특별히 퇴화되지 않고 그대로 남는 것입니다. 또한 진화 과정에서 불필요한 기관이 반드시 사라지는 것은 아닌데요, 남성의 젖꼭지를 없애려면 유전자적으로 ‘없애는 돌연변이’가 발생해야 하고, 그것이 개체의 생존이나 번식에 이득이 있어야 퍼질 수 있습니다. 그러나 남성의 젖꼭지는 생존이나 번식에 큰 해가 되지 않으며 즉 있어도 해롭지 않기 때문에 굳이 사라질 선택 압력이 작동하지 않은 것입니다. 따라서 남성의 젖꼭지는 일종의 중립적 특징(neutral trait)으로서 계속 남아 있는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동일한 배아에서 발생 과정을 거치기 때문입니다.
인간은 처음에는 남녀 구분이 없는 상태로 배아 발생과정을 거치게 됩니다. 수정 후 약 4주에서 6주까지 남자 배아와 여자 배아는 동일한 방식으로 발달하는 것이죠. 이 시기에 젖꼭지를 포함한 유방 조직의 원형이 형성됩니다.
성별이 결정되는 것은 Y 염색체에 있는 SRY 유전자 때문입니다. 이 유전자가 작동하면 남성 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이 분비되면서 남성 생식기가 발달하기 시작합니다. 하지만 젖꼭지는 이보다 훨씬 이른 시기에 형성되기 때문에 남성의 젖꼭지 발달에는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젖꼭지는 생존에 직접적인 위협이 되지 않는 흔적 기관의 일종으로 볼 수 있습니다. 생존에 불리한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에 자연선택에 의해 사라질 필요가 없었기 때문에 남성의 젖꼭지는 기능이 없다고 해서 진화적으로 제거되지 않고 계속해서 남아 있는 것입니다.
결론적으로, 남성의 젖꼭지는 특별한 기능이 있는 것이 아니라, 모든 인간이 동일한 초기 배아 발달 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형성되는 '진화적 흔적'이라 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안상우 전문가입니다.
생물의 몸에는 진화를 하면서 퇴화해는 기관들이 남아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흔적기관이라고 하는데 남자에게 있어서 젖꼭지는 이런 흔적기관에 일종입니다.
남성이 젖꼭지를 가지고 있는 이유는 인류 진화 과정에서 성별이 분화되기 전에 형성되었기 때문입니다. 태아가 발달하는 초기 단계에는 성별의 구분이 없어 모든 태아가 유방 조직과 젖꼭지를 형성합니다. 이후 성별을 결정하는 Y 염색체가 작용하며 남성 호르몬이 분비되어 생식기 등이 남성적으로 발달하지만, 이미 형성된 젖꼭지는 그대로 남게 됩니다. 젖꼭지는 남성에게 특별한 기능적 역할이 없으며, 진화적으로 사라지지 않은 흔적 기관으로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