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밤잠많은모기2
밤잠많은모기2

코인 거래소에서 스테이킹 보상을 주는 기준이 뭔가요?

국내 코인 거래소에서 일부 코인들은 스테이킹이라고 이자를 주더군요.

근데 대다수의 코인은 스테이킹 기능이 없어서 이자를 받지 못하는데 왜 특정 코인만 스테이킹이 가능하고 대다수의 코인은 스테이킹이 불가한가 궁금하더군요.

코인 거래소에서 스테이킹 보상을 주는 기준이 뭔가요?

1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코인스테이킹 보상을 거래소에서 주기 때문에 스테이킹을 거래소가 결정한다고 오해할 수 있습니다

    • 그러나 해당 스테이킹 보상은 그 코인의 네트워크에서 지급을 하는 것입니다.

    • 따라서 거래소 마다 다른 것이 아니고 네트워크가 결정하는 만큼 지급을 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스테이킹은 해당 코인 프로토콜이 지분증명 등 예치 기반 보상구조를 채택해야 가능하며 이 요건을 갖춘 코인만 대상이 됩니다. 또한 거래소가 노드 운영, 위임 구조를 갖추고 법적, 기술적 리스크를 감당할 수 있어야 스테이킹 상품을 내놓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명주 경제전문가입니다.

    코인 거래소에서 스테이킹 보상을 주는 기준은 해당 코인이 지분증명 기반 블록체인으로 네트워크 운영과 검증에 참여해 보상을 생성하는 구조를 갖고 있습니다. 거래소는 이를 지원하여 투자자의 코인을 예치해 네트워크에 활용합니다.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코인거래소에서 스테이킹을 주는방식은 사실상 위임방식의 스테이킹입니다. 현재 상당수의 코인은 지분증명방식으로 이루어져있습니다.

    지분증명방식이란 일정이상의 코인을 스테이킹을 통해서 락업을 하게 될경우 락업된 지분 노드로서 작용하게 되고 트랜잭션 발생시 해당 거래가 유효한지 검증하는 노드형태로 이루어지게 되는것이며 그리고 해당 코인의 백서에서 하루 일정풀을 전체 예치한 스테이킹량에서 분배하는 방식으로 보상이 지급되는것입니다.

    즉 지분증명을 통해서노드로 참여하게 되고 이에 대한 보상을 제공받는 형태가 스테이킹이며 각각의 스테이킹은 해당 재단과 연계한 검증된 디앱과 해당 재단에서 별도로 운영되는 스테이킹 디앱에서 예치가 이루어져야 합니다. 이경우 개인투자자들은 개별지갑에 코인을 출금해서 넣고 이 지갑을 연결하여 예치해야하는게 스테이킹이지만 이경우 번거롭고 난이도가 어렵기 때문에 각각의 CEX 즉 중앙화된 코인거래소에서 위임을 받아서 스테이킹을 대신해주고 스테이킹이율중 일부는 수수료명목으로 거래소가 챙겨가며 예치한 리워드를 투자자들에게 주는 방식으로 이루어져있습니다.

    즉 보상기준은 백서상에서 명시된 보상 리워드풀이며 전체 스테이킹양에서 하루분배된 기준 풀내에서 제공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있는것이며 에치참여자가 많을수록 풀한도는 정해져있기 때문에 보상이 줄어드는 구조입니다.

  •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스테이킹 가능 여부는 해당 코인의 합의 알고리즘에 달려 있ㅅ브니다. 지분증명(PoS, Proof of Stake) 기반 블록체인에서 토큰을 네트워크에 예치하고 네트워크 검증에 참여해 보상을 받는 알고리듬이 있어야 합니다. 이더리움, 솔라나 등이 대표적이며 비트코인 같은 작업증명(PoW, Proof of Work) 방식을 사용하는 코인은 스케이킹이 불가능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전문가입니다.

    스테이킹은 말 그대로 마케팅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가치를 끌어올리기 위한 방법이죠.

    스테이킹을 하기 위해서 코인을 구매하게 될테고 그만큼 수요가 높아지면 가격은 오르겠죠.

    그러나 이것도 초반에만 그렇지 결론적으로 코인을 보상으로 주는 시스템이므로 가치는 하락하게 되어있습니다.

    그렇기에 어느 정도 발행이 되고 지나면 굳이 스테이킹을 해서 가치를 올리는 것보다 하락하는 것이 더 커지기 때문에 안하는 것이죠.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

    코인 거래소에서 주는 스테이킹 보상은 해당 코인이 사용하는 PoS(지분 증명) 합의 방식에 따라 정해집니다. 보상은 주로 코인의 인플레이션율(발행량), 스테이킹에 참여한 총 코인 수량(네트워크 참여율), 그리고 거래소가 정한 수수료 및 정책을 기준으로 결정됩니다. 즉, 네트워크 안정화에 기여한 지분율에 비례하여 보상을 지급합니다.

  • 안녕하세요. 장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스테이킹 보상의 핵심은 지분 증명 방식의 코인만 가능하다는 거였어요. 지분증명은 코인을 예치(스테이킹)해서 네트워크 운영에 기여하면 그 대가로 보상을 받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비트코인처럼 작업 증명(PoW) 방식을 쓰는 대다수 코인은 채굴을 통해 보상을 얻기 때문에 스테이킹 기능이 없답니다.

    거래소는 사용자들의 코인을 모아 대신 스테이킹을 진행하고, 네트워크 보상에서 수수료를 뗀 후 고객들에게 분배하는 방식이지요.

    특정 코인만 되는 이유는 그 코인의 근본적인 기술 설계 방식 때문이라고 이해하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코인 거래소들이 스테이킹 서비스를 제공할 때는 사용자들의 코인을 모아서(스테이킹 풀) 대신 검증인 역할을 수행하고, 받은 보상을 사용자들에게 다시 분배하는 방식입니다.

    거래소가 스테이킹 보상을 주는 기준은 해당 코인이 지분증명 방식을 채택하고 있는지, 네트워크의 안정성과 보상률은 어떤지, 서비스를 제공할 만한 기술적 요건을 갖추고 있는지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고 주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민우 경제전문가입니다.

    스테이킹이 가능한 코인으로는 우선 지분증명이가능한 코인이여야합니다 예를 들면 비트코인은 작업증명형식이라 불가능한거죠

    이더리움 솔라나등이 지분증명코인입니다

    또 네트워크 보안 구조가 지분맡기기를 필요로 하는 코인만 가능

    스테이킹은 사용자가 코인을 잠가두고 네트워크를 검증하는 방식인데 이러한 방식으로 보인을 유지하는 체인만 스테이킹 기능을 제공합니다 

    또 여러가지 제약이 있는데

    포로토콜 레벨에서 보상설계가 있는경우

    중앙화 프로젝트 혹은 토큰은 스테이킹 불가

    토크노믹스 정책에따라 스테이킹이 불가한 경우 제제를 받습니다

    이러한 요건들이 모두 통과되는 코인이 적기때문에 한정코인들만 스테이킹이 가능하며 시가총액이 높을수록 스테이킹에 대한 이자가 저렴하고 시가총액이 낮고 신생코인일수록 스테이킹에 대한 이자가 높습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코인 거래소에서 스테이킹 보상을 주는 것에 대한 내용입니다.

    일단, 코인 거래소에서 지원하는 스테이킹이 가능한 코인에

    스테이킹을 하게 된다면 그에 대한 보상이 지급이 되는 것입니다.

    즉, 스테이킹에 참여하는 것이 보상의 기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