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 GM ⠀
⠀ GM ⠀

한국 주식이 주주환원을 잘 하지 않는 이유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한국 주식의 평균적인 주주환원율이 중국보다 낮다는 말을 들었어요.

주주환원율이 너무 낮은 것 같은데, 왜 이렇게 된건가요?

어떤 이유와 배경 떄문에 이렇게 된걸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0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은 전통적으로 대주주 중심의 경영 문화와 재투자 위주의 기업 전략이 강해 주주환원에 소극적이었습니다.
    또한 과거 고성장기에 이익을 내부 유보하는 것이 기업가치를 높이는 방법으로 여겨졌습니다.
    최근에는 정부 정책과 투자자 압력으로 환원율이 조금씩 개선되고 있지만 여전히 글로벌 평균에 비해 낮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 기업의 경우, 소수의 지배 주주 일가가 낮은 지분율로 그룹 전체를 지배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들은 주가 상승보다는 경영권 유지 및 승계에 더 큰 관심을 가질 수 있습니다. 주주환원보다는 내부 유보를 통해 경영권을 안정화하거나, 사업 확장 등에 투자하는 것을 선호할 수 있습니다. 소액 주주들의 목소리를 제대로 반영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부족하다는 지적도 있습니다. 이사회 구성의 독립성 부족, 집중 투표제 미흡 등이 그 예시입니다. 과거 고도 성장기에는 기업 이익을 주주에게 환원하기보다는 재투자를 통해 성장을 우선시하는 경영 문화가 강했습니다. 이러한 관행이 아직까지 남아있어 주주환원에 대한 인식이 상대적으로 낮을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기업들은 전통적으로 오너위주 지배 기업이 주도했습니다.

    이러한 경영 구조로 인해 주주보다는 기업 성장을 먼저 생각했기 때문에 배당금보다는 투자를 선호했습니다.

    이러한 기업 문화는 고성장을 하게 하지만 주주환원에 대해서는 소극적입니다.

    보수적인 경영이 주주환원율이 낮은 원인이 되었습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 기업은 대부분 가족경영 위주의 대주주가 절대적인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주주환원보다는 절대적인 영향력을 가지려고 합니다. 또한 투자선호문화로 재투자를 통한 주가 성장을 선호하기 때문에 주주환원은 잘 하지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종우 경제전문가입니다.

    현재 한국 주식 시장이 다른 국가에 비해 주주 환원율이 낮은 이유는 전통적으로 한국 기업들이 내부 유보금을 중시하면서 배당 또는 자사주 매입보다는 재투자나 경영 안정성을 확보하는 것을 우선 시 하기 때문 입니다.

    그리고 대주주 중심의 지배구조가 강해서 소액 주주 이익 보호가 상대적으로 소홀한 것도 있습니다.

    최근에는 이를 개선 할려는 노력이 보이기는 하지만 아직은 선진 글로벌 평균에는 못 미치는 수준 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근본적으로 국내 기업이 대주주가 기업의 오너구조였고 지배구조상 대주주가 유리하도록 물적 분할이나 인수합병 비상장 자회사 몰아주기 편법을 통해서 대주주가 유리하도록 정책을 펼치기가 가능했기 때문입니다

    즉 배당을 하게되면 법인세 과세에 다시 배당소득과세로 이중과세가 되고 거기다 대주주가 지분율이 상장기업이 낮고 지주회사를 장악해 적은 지분율로 회사지배가 가능하고 배당소득시 종합소득으로 최고세율로 과세되므로 주주환원이 자신에게 유리한게 아니기 때문입니다

    이에 자신이 100프로지분인 자회사비상장회사로 일감을 몰아주거나 오너이기 때문에 회사이익을 법인카드나 상여 복리후생비로 챙길수가 있으며 또 지분 교환을 통해서 자신이 지분이 많은곳으로 인수합병이나 물적분할이 언제든 가능했던 구조였기 때문에 굳이 주주환원을 확대할 유인책이 없던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한국 주식이 주주환원을 잘 하지 않는 이유에 대한 내용입니다.

    대부분의 기업들이 기업의 주주가 아닌 오직 대주주에게만

    집중하고 있기 때문에 이런 현상이 일어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허찬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은 과거부터 성장 중심의 문화 때문에 주주에게 이익 배당을 환원하는 것보다는 설비 투자나 연구개발 등에 투자를 하는것을 더 우선시하고 있습니다. 또한 개인 투자자가 많다보니 대형 주주들의 배당 요구와 같은 모습이 덜 나타나는 편입니다.

  • 안녕하세요. 박현민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 주식의 주주환원율이 낮은 주요 배경에는 대주주 중심의 기업지배구조와 배당소득세 부담, 그리고 전통적으로 배당과 자사주 매입에 소극적인 문화가 자리잡고 있습니다. 많은 기업들이 이익을 내부에 유보하거나 사업 확장에 우선 투자하는 경향이 강해, 주주에게 이익을 돌려주는 비율이 미국이나 중국 등 다른 국가에 비해 낮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이러한 구조적 요인으로 인해 한국 상장사의 평균 주주환원율은 최근 10년간 29% 수준에 머물러, 미국이나 중국보다도 낮은 수치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정부가 주주환원 확대 정책을 추진하고 있지만, 근본적인 기업 체질 개선 없이는 단기적 효과에 그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증시에 상장한 기업들에서 주주환원율이 낮은 이유는 아무래도 기업이 이익을 기업 오너나 자신들의 성과급에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서 입니다. 단기적인 이익에 목을 매는 것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