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기타 의료상담

영특한재칼181
영특한재칼181

백신접종후 감염 매개체 가능성

백신 접종후 항체형성으로 자신은 감염이 안된다하더라도 감염자와 접촉하여 병원체를 옮기는 매개체가 될 수는 있는 확율은 ?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정진석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불가능합니다. 항체는 감염성 및 전염성을 전혀 나타나지 않습니다. 잘못 알고 계십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조성진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코로나바이러스 예방백신 접종후 항체가 형성된경우에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자와 접촉을 하여도 코로나에 감염 되지는 않으므로 바이러스를 다른사람 에게 옮기는 매개체가 되지는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영민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백신 접종자라도 바이러스의 재확산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정확한 확률은 알기 어려우나, 돌파 감염자와 미접종자간의 검체를 비교했을 때 비슷한 농도의 바이러스가 검출되었다는 결과가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조인영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화이자 백신의 경우 2차 접종 완료 시 95%의 항체 형성율을 보입니다. 또한 델타변이에 대한 저항성은 60~70%정도로 나오고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돌파감염이 나오고는 있지만 중증도도 낮춰 주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접종의 효과는 나쁘지 않다고 생각 합니다. 그러나 여러 변이에도 더 높은 저항성을 보이는 새로운 백신의 필요성이 있기는 한 상태입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권준구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항체 형성이 되고 난 후에는 돌파감염으로 낮은 확률로 감염이 될 수 있습니다만 확률은 이전보다 훨씬 떨어집니다. 본인이 감염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타인에게 바이러스를 옮기지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수재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우선 백신 접종 후 항체가 생길 가능성은 90% 이상입니다.

      하지만 현재 돌파감염이 발생하고 있으며 정부의 정확한 통계자료는 없으나 과거 자료에 의하면 돌파감염확률은 0.03%입니다.

      돌파감염되는 경우 몸에 바이러스가 존재하기 때문에 타인에게 비말을 전파시키면 감염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창윤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백신 접종후 본인이 감염이 안된다면 다른 사람에게 그 바이러스를 퍼뜨리지는 못합니다.

      무증상 감염자라면 퍼뜨릴 수도 있겠습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닥터최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밀접접촉이란 미국 CDC 기준에 따르면 양성으로 확진된 환자와

      1. 거리가 6피트, 즉 1.8미터 정도 미만이면서

      +

      2. 총 노출된 시간이 (24시간 기준) 15분 이상일 경우

      밀접접촉자로 분류합니다.

      이런 밀접접촉이 확진자와 있었다면 바이러스를 전파할 가능성도 높다고 생각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조영지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백신 접종 이후에 체내에 있는 항체는 감염원이 아닙니다. 따라서 병원체를 옮길 수 없습니다. 또한 감염자와 접촉하여 본인이 감염이 되었다면 본인도 감염이 되고 다시 숙주로서 다른사람을 옮길 수 있습니다.

      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경태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접촉만으로는 매개체가 안됩니다.

      코로나에 걸려서 몸속에서 바이러스가 증식해야 매개체가 됩니다.

      영국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변이 바이러스에 대한 예방효과가 화이자는 87%, 아스트라제네카는 60% 수준으로 밝혔습니다.

      이스라엘에서는 화이자도 60% 수준이라고 밝히고 있습니다.

      기존 바이러스 유형에 맞춰서 개발된 백신이므로 변이바이러스에는 취약한 것이 사실입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옥영빈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백신 접종 후 항체가 형성이 되어 바이러스에 대한 저항성이 생기고 실제 바이러스에 접촉력이 생겼을 때 몸에서 항체에 의해 감염이 되지 않았다면 타인에게 옮길 가능성은 없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안중구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매개체가 곧 무증상감염과 동일한것으로 사료됩니다.


      아래 첨부한 통계를 보면 돌파감염자 비율은 10만명당

      교차접종 12.6명 < 화이자 25.9명 < 아스트라제네카 87 < 얀센 153명입니다

      이를 퍼센트로 환산하면

      교차접종0.0126% < 화이자 0.0259% < 아스트라제네카 0.087% <얀센 0.153%입니다

      이는 마스크를 쓰고 접종이 완료될 경우 위드코로나 정책으로 선회해 사회활동을 재개할 수 있다는 희망적인 수치입니다.

      참고뉴스출처 : https://news.v.daum.net/v/202109110501047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