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동향

굉장한콘도르12
굉장한콘도르12

금가격의 상승요인과 하락요인은 무엇일까요?

아무래도 안전자산을 선호하는 것으로 인하여 현재 금 가격이 오르고 있는 것 같은데요, 반대로 금 가격이 하락하는 요인 무엇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0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금값 얘기는 늘 나오는 주제라 재미있습니다. 올라가는 이유는 뻔하게도 불안할 때 사람들이 금을 찾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경기 침체 우려나 전쟁 같은 지정학적 위험이 커지면 안전자산으로 몰리면서 가격이 뛴다고 보입니다. 또 달러 가치가 떨어지면 금값이 오르는 경향도 있습니다. 반대로 내려가는 요인은 생각보다 단순합니다. 경기가 살아나고 주식이나 채권 쪽 수익률이 높아지면 굳이 금을 들고 있을 필요가 줄어듭니다. 미국 기준금리가 오르면 달러가 강세가 되고 그때는 금 가격이 밀리는 흐름이 자주 나온다고 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금가격의 상승 및 하락 요인에 대한 내용입니다.

    일단 금은 안전자산이기에 경제가 불확실하면 오르고 안정화 되면 내려갑니다.

    또한, 기준 금리가 오르면 내리고 내리면 오르게 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안전자산 선호 심리가 금 가격의 상승의 주요 원인인 것은 맞지만, 금 가격은 여러 복합적인 요인에 따라 오르내립니다.

    금 가격이 하락하는 요인들로는,

    달러강세가 있습니다.

    금은 일반적으로 달러화와 반비례 관계에 있습니다. 금은 달러로 거래되기 때문에 달러의 가치가 오르면 상대적으로 금의 가격은 하락하는 경향을 보입니다

    경기가 회복되고 경제 전망이 밝아지면 투자자들은 금과 같은 안전자산보다는 주식, 부동산과 같은 위험자산으로 눈을 돌리게 됩니다.

    미국의 중앙은행인 연준이 기준금리를 인상하면 예금이나 채권과 같은 이자 지급 자산의 수익률이 높아집니다. 금은 이자를 지급하지 않는 자산이므로 금리가 오르면 투자 매력이 상대적으로 떨어져 금 가격이 하락하는 요인이 됩니다.

    금은 인플레이션 헷지하는 수단으로 여겨집니다. 물가가 급등하여 화폐 가치가 떨어질 때, 실물 자산인 금의 가치는 상대적으로 유지되거나 상승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따라서 인플레이션이 둔화되면 금에 대한 투자 수요가 줄어들어 가격하락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서로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금가격을 결정하기때문에 한 가지 요인만으로 금 가격의 등락을 예측하기는 어렵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강성훈 경제전문가입니다.

    금은 한정된 자원이자 안전자산으로 평가됩니다. 상승요인은 채굴량 감소 및 금융시장 불안정으로 인한 수요 증가이며, 하락요인은 신규 채굴 광산 발견 내지 대체재 발견이라고 생각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상승요인: 경기 불확실성, 달러 약세, 인플레이션, 지정학적 리스크

    하락요인: 미국 금리 상승, 달러 강세, 위험자산 선호 증가, 금 대체 투자처 매력 확대

    금은 안전자산 선호가 강할 때 오르고 시장이 안정되고 금리가 높아지면 하락하는 흐름이 나타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금은 달러유동성과 밀접한 연관이 있으며 즉 달러자산의 가치와 상반되는 자산이라고 보시면됩니다 또한 기본적으로 수요와 공급이 중요한데 금은 2016년부터 공급량이 늘지 않고 조금씩 공급물량이 줄거나 횡보하면서 가격이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는 자산으로 보시면됩니다. 그러면서 달러유동성은 지속적으로 증가하면서 상대적으로 금의 가치가 부각되고 있는 요소가 큽니다.

    특히 장기기대인플레이션은 여전히 매우 높고 또한 장기적으로 미국의 재정적자는 쉽게 해소되지 않을것으로보여서 장기금리가 높은 수준에 머무르면서 장단기 금리차이가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는게 장기적으로 달러가치의 하락으로 보기 때문에 금의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게 상승의 원인입니다.

    결국 금의 하락요인은 미국의 장기금리가 빠르게 하락하게 되면 금가격은 그만큼 하락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금 같은 안전자산 투자를 선호 한다는게 사실 불경기에 많이 나타나는 투자현상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경기가 호황이고 증시가 좋고 그럴때는 금보다는 투자자들이 주식이나 코인 같은 위험자산에 대한 투자비중을 늘리는게 일반적이다고 생각하시면 될거 같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금가격의 상승요인의 경우 대체제가 없는것, 수요에 실사용과 투자목적이 함께있다 등이 주요한 요인입니다. 금가격에 하락요인이 있다면 추후 금을 대체할 자원이 나타나는것이 가장 큰 하락요인일 것이라 생각함니다. 단기적으로는 하락요소가 크지 않은것 같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모든 자산이 그렇듯이 수요와 공급에 의해서 움직이게 됩니다

    • 그중에서도 금의 특징은 안전자산에 속하기 때문에 경제 위기이고 흔들릴 때 수요가 몰리게 됩니다.

    • 하락요인은 반대로 경제가 안정되거나 다른 대체 투자 자산에 대한 수요가 상승하면서

      금에 대한 수요가 하락하는 케이스 입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금 가격의 상승 요인은 국제 경제 불안정(+인플레이션)으로 안전자산 선호가 높아지거나, 달러 약세나 낮은 금리가 대표적입니다. 반대로 경제가 안정되고 달러가 강세일 때, 또는 금리가 오를 땐 금의 매력이 떨어져 가격이 내려갑니다.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