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의 하락기가 언제까지 지속될 것으로 보시나요?
현재 부동산의 하락기가 언제 시작되었는지 궁금합니다. 과거 사례를 보았을 때 또는 관련 자료들을 토대로 언제까지 지속될 것으로 예상하시나요? 전문가님들의 의견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코로나와 이웃나라 전쟁으로 인해 계속 좋지 않았습니다
모든 비용이 오르다보니 미분양사태가 쏱아졌고 건설사들이 부도위기에 처하기도 했습니다
그런데 올 7~8월부터 서울의 똘똘한 한채를 위해 상급지 이동이 많았고 가격이 많이 올랐습니다
또 한쪽으로 많이 오르다보니 정부에서 댖울한도 규제를 해서 거래줄었고 계엄사태로 인해 거래가 멈췄습니다
내년에는 더좋지 않을것으로 보이지만 서울은 공급이 부족해서 대출규제가 풀리면 또 오를수도 있습니다
지방역시 가격하락이 많은 중심지는 거래가 조금씩 되고 있다고 합니다
하지만 인구감소와 공급이 많은지역은 더 떨어질수도 있고 지역적 차별화는 더심해질수도 있다고 봅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현재 우리나라의 경우 고금리의 장기화, 정부의 대출 규제등으로 부동산 침체기에 있습니다.
또한 집값이 안정이 안 되었다고 정부는 생각을 하고 있고 가계대출이 높다고 생각을 하고 있기 때문에 쉽게 대출 규제를 완화하지 않을 것으로 사료됩니다.
즉 아마도 1~2 정도 부동산 침체기를 거치고 나서 어느 정도 바닥을 찍고 조금씩 반등을 하지 않을까 사료해 봅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현재 부동산의 하락기가 언제 시작되었는지 궁금합니다. 과거 사례를 보았을 때 또는 관련 자료들을 토대로 언제까지 지속될 것으로 예상하시나요? 전문가님들의 의견이 궁금합니다.
==> 부동산 가격 침체는 윤석열 정부가 출범하면서 서서히 진행되었고 오늘까지 온 것 입니다. 그러나 탄핵정국이 종료가 되고 민주당에서 정권을 잡는다면 부동산가격이 반등될 가능성이 매우 높아 보입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영관 공인중개사입니다.
제 개인적인 소견으로는 현재시점에선 2026~2027년정도에 바닥을 형성하지 않을까 판단하고 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코로나 이후로 서울과 수도권 중심으로 가격 상승 중에 있으나 현재는 하락세라긴 보다 보합세라고 생각랍니다.
지역에 따라 다르겠지만 서울과 수도권만 보면 보합세가 맞습니다.
하락세가 온다면 3년정도 지속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