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주식·가상화폐경제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주식·가상화폐경제
꿀벌4590
꿀벌459023.01.11

기축통화가 되는데 어떤자격이 있나요

앞으로 중국 위안화가 미국 달러의 강력한 라이벌이 될 것이라고 하는데 지금도 위안화가 기축통화 아닌가요

그냥 경제규모가 크면 기축통화가 될 수 있는 자격이 되는 것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인민폐(RMB)로도 알려진 중국 위안화는 세계 경제의 기축 통화로서 미국 달러의 잠재적 경쟁자로 간주됩니다. 이는 중국이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경제 규모를 가지고 있고 세계 금융 시스템에서 점점 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위안화는 아직 완전한 기축통화로 여겨지지 않고 있다. 주된 이유 중 하나는 중국 정부가 여전히 위안화 가치에 대해 상당한 통제권을 행사하고 있어 위안화가 자유롭게 거래되고 널리 받아들여지는 글로벌 통화로 사용되기 어렵다는 점입니다. 또한 중국의 금융 시장은 다른 주요 경제국만큼 발달하지 않아 위안화의 글로벌 도달 범위도 제한됩니다.

    기축통화는 국제무역과 금융거래에 널리 사용되는 통화로, 결제 수단과 가치 저장 수단으로도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다. 또한 글로벌 통화로 간주되며 다른 통화의 벤치마크 역할을 합니다. 큰 경제만으로는 통화가 기축통화로서의 자격을 갖추는 것이 아니라 안정적인 정치 및 경제 환경, 잘 발달된 금융 시장, 높은 수준의 국제적 신뢰도 필요합니다. 중국 정부가 위안화를 국제화하고 세계 경제의 기축 통화로 장려하기 위해 노력해 왔다는 점에 주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기축 통화의 조건은 우선 해당 통화 발행 국가 의 군사력 과 외교 적 영향력이 압도적이어야 한다고 합니다. 두 번째로 금 보유량이 많아야 하고, 어마어마한 양의 무역 적자를 봐야 하며 세 번째로 금융업 이 엄청나게 발달된 첨단 금융 시장이 존재해야 한다고 합니다. 마지막으로 국가의 신용도와 물가 가 안정되어야 한다고 하지요. 이 4가지 조건들을 모두 충족하는 나라가 미국 뿐 이라고 하네요. 그래서 미국 달러 가 기축 통화인 것 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기축통화로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군사적으로 지도적인 입장에 있어 전쟁으로 국가의 존립이 문제시 되지 않아야 하며, 기축통화 발행국은 다양한 재화나 서비스를 생산하고, 통화가치가 안정적이며, 고도로 발달한 외환시장과 금융 및 자본시장을 갖고 있어야 하며, 대외거래에 대한 규제도 없어야 합니다.

    역사적으로 영국의 파운드화, 미국의 달러를 기축통화라고 부릅니다.

    영국의 파운드화는 19세기 중반 이후 국제금융의 중심지로서 영국이 가진 강력한 세력을 배경으로 기축통화의 역할을 담당하였으나, 제1차 세계대전으로 유럽 각국의 경제가 쇠락하면서 기축통화의 지위는 내려놓게 되었습니다.

    이후 미국의 경제력과 국력을 배경으로 미국 달러가 명실 공히 기축통화로 자리매김을 하였습니다. 현재는 패트로 달러라고 불리우는, 국제원유 결제를 달러로만 가능하게 하는 등, 무역거래의 대부분이 달러로 결제가 되는 등 기축 통화로서 굳건한 지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기축통화와 같은 경우에는 전세계 어디에서든

    인정받음과 동시에 각종 제품 등의 결제수단으로도 사용되어야 하며

    그 화폐의 가치가 일정하여야 하는 등 하여야 합니다.

    또한 수요와 공급 등이 일정하여야 하며 해당 국가에 대한 신뢰가 기반이 되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