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무역 이미지
무역경제
무역 이미지
무역경제
덕망있는불독137
덕망있는불독13723.10.28

중국의 위안화로 기축통화 지위를 얻기 위해 노력중인데 가능한지요?

세계 화폐라 그러면 어떤 나라의 돈이 떠오르시나요 아마 달러인데요 나라간의 거래후 결제를 달러로 합니다 그런데 제2의 부국이 되는 중국이 위안화로 기축통화 지위를 얻기위해 노력중인데 가능한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

    중국은 미국 달러의 기축통화 지위에 끊임없이 문제를 제기하고, 기축통화 패권을 차지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습니다. 중국이 달러의 기축통화 지위에 끊임없이 문제를 제기하는 것은, ‘기축통화’를 보유한 나라가 막대한 이익을 누리기 때문입니다. 이에 앞서 간단하게 정리하자면, 기축통화(key currency)는 무역 시 상대국끼리 교역대금을 결제할 때 사용되는 통화를 의미합니다.

    시진핑 주석 취임 이후 ‘위안화의 국제화’ 조치가 중단된 것처럼, 중국은 언제든지 자본시장의 문을 걸어 잠글 수 있는 존재입니다. 자본시장의 문을 잠그는 데서 그치면 다행이지만, 더 나아가 중국 정책당국에 미움을 산 사람은 재산을 헌납하고 해외에서 떠돌이 생활을 해야만 합니다. 알리바바 그룹의 마윈 회장이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중국 최고의 부자조차 자신의 재산을 마음대로 투자하거나 처분하지 못하는데, 해외 투자자들이 팔고 떠날 때 중국 정부가 가만히 내버려둘 것이라는 보장이 있을까요? 미국 정부가 오랜 기간 재정과 경상수지 적자를 감수하며 세계 곳곳에 달러를 푼 결과 달러는 세계 어디서든 통용될 수 있는 풍부한 유동성을 갖게 되었습니다. 정부의 외환시장 개입과 자본 통제가 이뤄져온 중국에서 이를 감수할 가능성은 낮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개인적으로 미국의 기축통화의 지위가 쉽사리 꺾이지는 않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또한 기축통화의 특성상 해당 국가는 화폐의 발행량이 많아야 하고, 무역적자를 보는 것이 필수적이기 때문에 중국의 입장에서도 마냥 기축통화의 지위를 갖는 것이 좋은 것만은 아니라고 생각됩니다.

    아래의 내용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https://times.postech.ac.kr/news/articleView.html?idxno=22644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중국의 경우 현재로서는 기축통화국의 지위를 얻기 어려울 듯 합니다. 먼저 기축통화의 경우 국가가 경제적 군사적으로 강대하고, 압도적인 금 보유량, 금융업의 발달 및 경제적 신용적으로 안정되어야 합니다.


    이미 CNY의 경우 기축통화로서의 지위를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만 진정한 기축통화인 USD를 넘기 위하여는 미국을 넘어야 됩니다. 이를 고려하여 미국을 뛰어넘기가 현재로서는 어렵기에 기축통화의 지위는 가질 수 있지만, 1등 기축통화는 되기 어려울 듯 합니다.


    답변이 도움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주봉 관세사입니다.

    미국은 패권국가로서 달러 결제라는 기축통화의 힘을 가지고 있습니다. 중국도 이러한 중요성을 알고 있으며 국가의 규모가 크고 힘이 생기다보니 자국의 통화로 결제하는 것을 꿈꾸고 있을 것입니다. 다만, 미국이 설정해놓은 페트로 달러나 무역대금 결제의 아성을 중국이 무너트리기에는 쉽지 않을 것으로 보여집니다. 얼마전에 브라질에서 위안화로 결제했다는 이야기가 나왔지만 그렇게 되기 위해서는 중국이 우방국이 많아야하며, 미국과 최소 동등한 국가로 되어야 가능하기에 단기간에는 어려울 것으로 개인적으로 보고 있으므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무역분야 전문가입니다.

    중국은 세계 2위의 경제 규모를 가진 국가로, 위안화의 국제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기축통화로 자리 잡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조건을 충족해야 함로 쉽지 않다고 볼 수 있습니다.

    - 경제규모 및 결제수단 : 세계에서 가장 많이 유통되는 통화이자, 국제 무역과 금융 거래의 주요 결제 수단이 되어야 합니다.

    - 금융 시장의 발전: 해당 통화가 국제 금융 시장에서 자유롭게 거래되고, 다양한 금융 상품에 사용될 수 있어야 합니다.

    - 법적 안정성: 통화의 가치가 안정적이고, 법적 보호가 확실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