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법률

부동산·임대차

역대급유연성있는비빔국수
역대급유연성있는비빔국수

재개발 지역 세입자 이주 불응 계약자는 이주 진행

안녕하세요 너무 답답한 상황입니다 도외주세요 저는 전세 계약자입니다. 현재 이주기간이고 가족중 한분이 이주를 안 하고 버티고 있는 상황입니다 저는 단순 계약입니다 집주인은 살고있는 분이 나가야 전세 계약금을 돌려 줄 수 있는 상황이라고 하시는데 지금 살고 있는 가족분이 계속 버티고 이주 기간이 끝나고도 안 나가면 조합원측에서는 명도 소송을 진행할텐데 저는 계약자이지 전세집에는 이미 나왔는데 그로인한 불이익이 제게 발생하나요? 아니면 거주중인 가족이 불이익이 살고있는 분이 책임지셔야하는 상황인가요? 제 전세 계약금은 온전히 돌려받을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계약자라는 이유로 피해금액을 제가 지불할 상황이 생기는건 아닌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살고있는 분은 새로운 거처를 마련해주지 않으면 절대 안 나가고 단순 이사비가지고는 안된다는 주장입니다 아예 돈이 한푼도 없으신 분이라 배째라는 식입니다 ㅠ 가족간에 큰 일이 있어 저랑은 남처럼 지내고 산지 오래입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성표 변호사입니다.

    재개발 지역에서 세입자 이주와 관련된 문제는 복잡한 법적 상황을 포함할 수 있습니다. 현재 상황을 바탕으로 몇 가지 법적 쟁점을 설명드리겠습니다.

    전세 계약자와 세입자의 법적 책임

    1. ​전세 계약자의 권리​: 전세 계약자는 임대차 계약에 따라 임대인으로부터 전세금을 반환받을 권리가 있습니다. 임대인은 세입자가 이주하지 않아 전세금을 반환할 수 없다고 주장할 수 있지만, 이는 임대인과 세입자 간의 문제로, 전세 계약자에게 직접적인 책임이 있는 것은 아닙니다. 따라서 전세 계약자는 임대인에게 전세금 반환을 요구할 수 있습니다.

    2. ​세입자의 이주 불응​: 세입자가 이주를 거부하는 경우, 조합 측에서는 명도 소송을 통해 강제 집행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세입자가 법적 책임을 지게 되며, 전세 계약자에게 직접적인 불이익이 발생하지는 않습니다.

    3. ​전세금 반환 문제​: 전세 계약자가 이미 이주한 상태라면, 임대인은 전세금을 반환할 의무가 있습니다. 만약 임대인이 전세금 반환을 거부한다면, 전세 계약자는 임대인을 상대로 법적 조치를 취할 수 있습니다.

    관련 법령 및 판례

    •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이 법에 따르면, 재개발 사업이 진행되는 경우 세입자는 일정한 보상을 받을 수 있으며, 사업시행자는 세입자에게 이주비 등을 지급해야 할 의무가 있습니다(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제70조).

    • ​판례​: 서울중앙지방법원 2018가단5106763 판결에서는 재개발 사업의 관리처분계획 인가가 고시된 경우, 임차권자의 사용·수익이 정지되며, 사업시행자가 이를 사용·수익할 수 있게 된다고 판시하였습니다. 이는 세입자가 이주를 거부할 경우, 법적 조치를 통해 강제 집행이 가능함을 의미합니다(서울중앙지방법원-2018가단5106763).

    결론적으로, 전세 계약자는 임대인에게 전세금 반환을 요구할 수 있으며, 세입자의 이주 불응으로 인한 법적 책임은 세입자에게 있습니다. 전세 계약자가 직접적인 불이익을 받을 가능성은 낮습니다. 다만, 구체적인 상황에 따라 법적 조언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