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대출

재빠른들소8
재빠른들소8

신용평가의 신용점수를 보다보면 KCB,와 NICE 로 나누어지는데요 ?

안녕하세요, 산용평가의 신용점수를 보다보면

KCB와 NICE로 구분되는데요, 저만 그런건지 두 기관의 신용점수가

차이가 많이 나네요. 무슨 차이 일까요 ?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두 기관 모두 신용점수 산저에 주요 항목을 공통적으로 보지만, 각 항목에 부여하는 가중치와 세부적인 평가 기준이 다릅니다. 상환 이력, 부채 수준, 신용 거래 기간, 신용 거래 형태입니다. 여기에 추가적으로 비금융 정보 제출 시 가점을 받을 수 있는 항목도 있습니다. KCB는 부채의 질과 신용 거래 형태를 중요하게 평가합니다. 고금리 대출 사용 비중이나 신용카드 할부 이용이 많다면 점수가 낮게 나올 수 있습니다. 대출 금액이나 대출 건수 등 부채 수준에 대한 비중이 NICE보다 높은 편입니다. NICE는 상환 이력과 꾸준한 신용 거래 기간을 중요하게 평가합니다. 대출이 많더라도 연체 없이 성실하게 잘 갚아왔다면 비교적 높은 점수를 받을 수 있습니다. 비금융 정보 반영 비중이 KCB보다 높을 수 있습니다.

  • KCB와 NICE는 서로 다른 민간 신용평가사로 수집하는 정보와 점수 산정 방식이 다르기 때문에 신용점수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특정 금융사가 KCB에는 정보를 제공하지만 NICE에는 제공하지 않는 경우도 있고, 평가사마다 연체, 대출, 카드 사용 등의 반영 비중도 다르기 때문입닏.

    어느 점수가 더 정확하다고 말할 수는 없으며, 금융사마다 참고하는 평가사가 다르기 때문에 두 점수를 모두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힘찬 경제전문가입니다.

    KCB와 NICE는 서로 다른 민간 신용평가회사라서 신용점수 산정 방식에 차이가 있어요.


    같은 금융정보를 바탕으로 해도 가중치나 평가 알고리즘이 달라 점수 차이가 나는 거예요.

    예를 들어 카드 사용 내역, 대출 이력, 연체 여부 등을 보는 기준이 기관마다 조금씩 달라요.


    그래서 한쪽 점수가 낮다고 해도 너무 걱정하지 마시고, 두 점수를 모두 참고해서 관리하는 게 좋아요.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KCB와 NICE는 국내 대표적인 개인 신용평가회사입니다. 둘다 같은 사람이라도 점수 산정기준이 다르기 때문에 신용 점수는 다르게 나올 수 있습니다.

    KCB는 주로 은행, 금융기관에서 많이 사용되며, NICE는 통신사, 카드사 등에서 폭넓게 활용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허찬 경제전문가입니다.

    나이스는 금융기관과 공공기관의 신용 정보를 데이터 소스로 삼고 있으며 KCB는 은행이나 카드사 등의 데이터를 소스로 삼습니다. 평가 알고리즘에 차이가 있고 데이터 가중치에 차이가 있어서 두 기관의 점수가 차이가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전문가입니다.

    KCB(코리아크레딧뷰)와 NICE(나이스평가정보)의 신용점수 차이는 각 기관의 평가기준과 가중치 차이에서 비롯됩니다. KCB는 신용거래 형태(38%)와 부채 수준을 중시하며, 고금리 대출이나 카드 현금서비스 사용 시 점수가 낮아질 수 있습니다. 반면, NICE 는 상환 이력(28.4%)과 거래기간을 더 중요하게 보며, 연체 경험이 있거나 신용거래 기간이 짧은면 점수가 낮아집니다. 정보 업데이트 주기와 데이터 수집범위도 차이에 영향을 미칩니다. 두 점수 모두 금융기관에서 참고하므로 함께 관리하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KCB와 NICE 신용평가에 대한 내용입니다.

    기본적으로 두 신용평가사는 신용점수 평가 항목 비중에서 차이가 납니다.

    KCB는 신용거래 형태를 주요하게 보고

    NICE는 상환이력정보를 더 주요하게 보기에

    점수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준기 경제전문가입니다.

    문의글 답변드립니다.

    답변 : 두 평가기관 모두 평가항목은 5가지 입니다.

    1. 상환이력

    2. 부채수준

    3. 신용거래 형태

    4. 신용거래 기간

    5. 비금융

    다만 각 평가항목에 따른 평가비율이 상이합니다.

    예시로 상환이력에 대해서 NICE는 28.4% 비율로 평가 / KCB는 21% 비율로 평가 합니다.

    ✅️ 세움인베스트 이준기 경제전문가

  • 안녕하세요. 김승훈 경제전문가입니다.

    둘은 사용처가 조금 다릅니다.

    kcb는 은행, 카드사 위주에서 주로 사용하며,

    nice는 공공기관과 통신사 등에서 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둘은 평가하는 방식이 조금 다르기 때문에 점수 역시 다를 수 있습니다.

    위에서 말씀드린 것처럼 주 사용처가 달라 반영 이력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

    KCB와 NICE 신용평가점수는 평기 항목과 비중이 달라 차이가 발생합니다. KCB는 신용거래 형태(카드 사용, 대출 구조 등)와 부채 수준을 더 중시하고, NICE는 상환 이력(연체 경험 등)과 거래 기간에는 더 높은 비중을 둡니다. 따라서 같은 금융 이력이라도 두 기관 점수가 다르게 나올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이것은 두 신용평가사의 가중치를 어느 곳에 두는지에 따라 정해진다고 볼 수 있습니다. 가령 kcb의 경우에는 신용거래 등에 대한 것에 가중치를 두고 운영을 하고 있으며, nice의 경우에는 대출의 연체이력 등에 대한 것이 보다 가중치를 두고 있습니다. 따라서 어떠한 것을 많이 사용하는지에 따라 높은 점수를 보이는 곳을 활용하는 것을 이용하는 것이 보다 높은 대우를 받을 수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우선 두 신용평가사는 평가방식이 서로 다르고 가중치와 변수가 다소 차이가 납니다 이로 인해서 흔히 NICE는 신용카드사용패턴에 더 비중을 둔다고 알려져있으며 NICE신용평가정보는 평소 대출의 상환이력에 더 중점을 둔다고 알려져있습니다 그리고 서로 제휴를 맺는 금융기관이나 카드사 유통사들이 달라서 수집하는 데이터 방식이 달라서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