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기타 의료상담

cej0211vkd
cej0211vkd

수면과 건강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

성별
남성
나이대
27

아무래도 제가 수면 패턴이 남들과 다른 점이 있어서 질문드립니다.

보통 새벽 3시~오전11시까지 자는 편이고 낮에 낮잠을 1~2시간 추가로 자는 편입니다.

아무래도 수면 패턴이 보통의 직장인과는 다르다 보니 좀 걸리는 점이 있는데요.

1. 수면시간은 얼추 8~9시간을 채우는 것 같은데 너무 늦게 자는 점이 문제인 것 같습니다.
특히 암과 같은 경우 수면과도 연관이 있다고 들었는데, 수면 시간을 충족해도 늦게 자면 악영향이 있을까요?

  1. 낮잠도 제법 길게 자는 편 같은데 이게 오히려 약영향을 끼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이게 패턴이 되다보니 낮 4~5시 되면 좀 피로가 몰려오는 편인 것 같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유민혁 의사입니다.

    밤에 늦게 자고 낮에 자는 패턴이 건강에 좋진 않아요. 우리 몸의 일주기 리듬이 깨지면서 멜라토닌이나 코티솔 같은 호르몬 분비가 불규칙해질 수 있거든요. 낮잠도 30분 정도로 짧게 자는 게 좋은데, 1-2시간 자시면 오히려 밤에 잠이 안 오고 악순환이 될 수 있어요. 수면시간을 점진적으로 앞당기면서 낮잠 시간을 줄여보시는 게 좋을 것 같네요. 한번에 바꾸기는 힘드시겠지만 조금씩 바꿔보세요.

  • 안녕하세요. 채홍석 가정의학과 전문의입니다.

    업로드해주신 증상의 설명과 자료는 잘 보았습니다.

    수면시간이 다른 분과 달라도 규칙적으로 주무신다면 크게 문제되지 않습니다

    낮잠은 가능한 주무시지 않는 것이 좋을 것입니다

    물론 수면시간을 더 앞당길 수 있다면 좋구요

  •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

    밤에는 보통 멜라토닌이 상대적으로 많이 분비되어 수면을 촉진하는데 밤 늦게까지 깨어있고 점심까지 자는 패턴은 수면의 질을 떨어뜨릴수있습니다. 그리고 생체리듬도 보통 낮에 활동하고 밤에 자는걸로 세팅이 되어있어 이에도 맞지 않습니다. 가능하면 12시 정도에 주무시고 8시 경에 일어나서 하루를 시작하시는게 좋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의 의료상담 전문가 의사 김민성입니다. 질문해주신 내용 잘 읽어보았습니다.

    수면 패턴에 관한 질문을 주셨네요.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수면의 양뿐만 아니라 질과 패턴도 건강에 중요한 영향을 끼칩니다. 늦게 자고 늦게 일어나는 패턴이 본인에게 맞고 피로가 없으면 문제가 없을 수 있지만, 피로가 지속된다면 일정 부분 조정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밤 사이의 수면은 신체의 생체 리듬을 고려할 때 중요할 수 있습니다. 이는 호르몬 분비와 신체 회복에 영향을 미칩니다. 수면 시간이 충분하더라도 늦게 자고 일어나는 생활이 장기적으로 지속되면 생체 시계의 불균형이 생길 수 있습니다.

    더불어 낮잠에 대한 고민도 이해됩니다. 20분에서 30분 정도의 짧은 낮잠은 피로 회복에 도움이 되지만, 1~2시간의 긴 낮잠은 오히려 밤 수면의 질을 떨어뜨릴 수 있습니다. 그렇게 되면 밤에 깊은 잠을 자지 못하고, 결과적으로 낮에 피로가 더 느껴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현재의 수면 패턴이 장기적으로 건강에 좋은 영향을 주지 않을 수 있으므로 수면 습관을 조금씩 조정해보는 게 좋겠습니다. 만약 지속적으로 피로감을 느끼신다면, 조금이라도 수면 시간을 앞당겨 보거나 낮잠 시간을 줄여보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저의 답변이 궁금증 해결에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