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고용·노동

임금·급여

공손한몽구스81
공손한몽구스81

연차관련 1년 미뤄 지급할경우

1번 케이스: 회사가 이렇게 늦게 지급하는데 문제가 없을까요?

21년 3월 입사의 경우 23년까지 쓰고 남은 연차를 26개-쓴 연차를 24년 1월에 처음 정산받음

- 22년 3월까지가야 15개가 발생하므로(월만근하면 발생하는 연차는 논외로하고) 정산금액 발생시점을 아예 23년 1월 1일로 잡는 것임.

-첫 정산일은 그렇고 이후에는 매년 연차정산이발생

-근로자 퇴직시에는 입퇴사일 기준으로 모두 정산해줌

2번 케이스:

회계연도 단위로 끊고 비례연차로 지급할 경우,

퇴직시에는 입퇴사일단위로 정산한다고했을때,

입퇴사일 기준으로 계산하면 사용한 연차가 부여된 연차보다 더 많을때 마지막달 급여에서 공제해도되는지?

예를들어

2021.07 입사

2022.01 7.5개 비례 발생(+만근5개) 22년 사용 10개 후 정산

2023. 01 15개 발생(+만근6개)

후 2023년 6월 퇴사시 연차 21개 사용한다 치면

입퇴사일 기준으로는 10.5개를 더사용+지급한게 됩니다.

2_1. 10.5개를 급여공제해도되는지?

2_2. 만약에 2번케이스에서 2개만사용했을때

26-12.5-2=13.5개만 지급해도 되는지?

여부가 궁금합니다 ㅜㅜㅜㅜ

4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하기 이미지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