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이비인후과 이미지
이비인후과의료상담
이비인후과 이미지
이비인후과의료상담
진실한뱀48
진실한뱀4821.09.29

폐렴구균 예방접종에 대해질문해요

30대중후반인데., 코로나 백신을 안맞아서 혹시라도

모를까 폐렴예방접종하는데 13가를 맞았음

65세이후23가를 맞으라고하던디 그러면 되는지요?

그리고 요것도 혹시 부작용증상이 있는지

알고싶어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경태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모든 백신은 이상반응이 동반됩니다.

    보다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위해서 가까운 의원 혹은 병원 내원하셔서 전문의의 문진, 신체진찰 및 추가 영상학적 정밀검사를 해보시길 권유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정진석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우리 몸의 폐는 호흡을 통해 들어온 공기 중의 산소를 혈액에 전달하고, 혈액으로부터는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는 작용을 합니다. 이러한 폐의 기능을 가스교환이라고 합니다. 폐의 가스교환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려면 폐의 구성단위인 폐포가 항상 깨끗한 상태(무균 상태)가 유지되어야 합니다. 외부로부터 균이 들어와서 폐포에서 자라게되는 경우를 폐렴이라고 합니다. 폐렴이 발생하면 폐렴이 있는 부위의 폐포에서는 가스교환이 불가능하여 저산소증이 발생할 수 있으며, 폐의 염증이 전신에 퍼지게 되면 패혈증이라는 무서운 합병증이 생길 수도 있습니다.

    폐렴을 일으킬 수 있는 미생물은 세균, 바이러스, 곰팡이, 리켓치아, 기생충, 결핵균 등등으로 매우 다양하지만 세균이 가장 흔한 원인균이며, 세균 중에서도 폐렴구균이 세균성폐렴에서 가장 빈도가 높은 원인균입니다. 다행히 폐렴구균에 대한 예방주사가 개발되어 있습니다.

    폐렴구균 예방접종은 제작방식에 따라 다당백신과 단백결합백신으로 분류됩니다. 단백결합백신이 항체를 더 많이 형성하고, 항체역가가 오래 지속되는 장점이 있지만, 가격이 비싼 점이 단점입니다. 2세 이하 소아는 단백결합백신을 맞아야 하며, 성인은 다당백신을 맞아도 되고, 단백결합백신을 맞아도 됩니다.

    폐렴구균에 대한 예방접종은 2세 이하나 65세 이상은 모두 맞는 것이 권고되며, 50세 이상의 사람 중에 면역억제상태가 있거나 만성 심부전, 만성 신질환, 만성 호흡기질환, 당뇨 등의 만성 질환이 있는 경우에도 접종이 권고됩니다. 폐렴구균 예방접종으로 항체가 형성되더라도 예방접종을 한 후에 시간이 오래 경과하면 항체역가가 줄어들어 예방 효과가 떨어집니다. 따라서 다당백신으로 65세 이전에 예방접종을 한 경우에는 5년 뒤에 재접종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항체역가가 떨어지면, 폐렴구균에 의한 폐렴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폐렴구균 예방접종은 폐렴구균에 대한 항체만을 형성하기 때문에 다른 원인의 폐렴 원인균들에 대한 예방 효과는 없습니다. 따라서 폐렴구균 예방접종 후에도 다른 종류의 미생물에 의해 폐렴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1.09.30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안중구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코로나 접종으로 인해 항체형성이 70%이상이 된다고 해도 변이 바이러스의 가능성 때문에 마스크 착용은 지속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그럼에도 예방접종을 하는 이유는 코로나 백신접종 후 감염될 경우 사망률을 매우 극적으로 낮추기 때문입니다.


    폐렴구균 접종은 부작용이 적은 편이고 코로나예방에 도움이 되지는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창윤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폐렴구균 접종을 한다고 하여 코로나 백신과 크게 관련없습니다.

    또한 어느 백신이든 부작용은 쉽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특히, 폐렴구균은 그 중에서도 열을 잘 내는 것으로 흔히 알려져 있습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서민석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30대이시라면 폐렴 구균 예방 접종은 일반적으로 권장되지 않습니다. 면역이 떨어지는 60대부터 권장이 되지요. 코로나 바이러스는 폐렴 구균 예방접종으로 해결되는 것은 아니라서 코로나 백신은 따로 맞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아마 30년 뒤의 이야기라서 그때는 13가, 23가 폐렴 구균에 대한 진료 권고안이 바뀔겁니다. 새로운 백신도 나올거라고 보이구요. 당장은 뭐라 말씀드릴 수가 없네요. 폐렴 구균도 일반적인 백신과 같이 접종 부위의 통증과 부종, 열, 몸살이 생기기는 합니다. 물론 코로나 백신 만큼 흔하지는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