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주식·가상화폐경제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주식·가상화폐경제
진리의 샘
진리의 샘23.03.10

자기 자본 비율 계산법은 어떻게 되나요?

경제 용어 중에 '자기 자본 비율'이라는 말이 있는데요. 자기 자본 비율 계산은 어떤 방식으로 하는가요? 자기 자본 비율이 중요한 이유는 뭔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자기자본 대 자산 비율 또는 간단히 자기자본 비율이라고도 하는 자기자본 비율은 부채나 기타 부채가 아닌 주주의 자본으로 자금을 조달하는 회사 자산의 비율을 측정하는 재무 지표입니다. 자기자본비율은 총자본을 총자산으로 나눈 값을 백분율로 나타낸 것입니다.

    자기자본비율 = 총자본 / 총자산 x 100%

    예를 들어, 회사의 총 주주 지분이 100만 달러이고 총 자산이 500만 달러인 경우 자본 비율은 다음과 같습니다.

    자기자본비율 = 1,000,000 / 5,000,000 x 100% = 20%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자기자본비율이라는 것은 해당 회사가 가진 총 자산 중에서 회사의 '자기자본'이 차지하는 비중을 말하는 것으로서, (자기자본/총자산) *100으로구하게 됩니다. 이 자기자본 비율은 해당 회사가 얼마나 '빚'을 지지 않고 회사를 운영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며 회사의 안정성과도 연결되는 지표가 됩니다. 자기자본비율이 높은 회사는 채무가 적은 회사이다 보니 향후 경기가 어려워지거나 혹은 회사의 사정이 나빠지더라도 채무에 쫓기지는 않다 보니 조금 더 안정적인 운영이 가능한 반면에 자기자본비율이 낮은 회사는 회사의 실적하락이나 경기악화시에는 채무상환의 압박이 이루어질 수 있어 자기자본비율이 높은 회사가 경기의 변동에 안정성이 높다고 할 수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자기 자본 비율은 기업이 자기 자본으로 운영하는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자기 자본 비율은 기업의 자기 자본(자본금 + 이익잉여금)을 총자산으로 나눈 값으로 계산됩니다. 수식으로는 자기 자본 비율 = (자본금 + 이익잉여금) ÷ 총자산 입니다.

    자기 자본 비율이 높을수록 기업이 부채를 이용한 자금 조달을 최소화하고, 안정적으로 운영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또한, 자기 자본 비율이 높을수록 기업이 부도 위험에 노출되는 경우가 적어지며, 장기적인 경영 전략 수립에 유리합니다.

    반면에, 자기 자본 비율이 낮을 경우 기업이 부채에 의존하여 자금 조달을 하게 되므로 부도 위험성이 높아지고, 이에 따른 이자 부담으로 경제적인 압박을 받을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이러한 이유로 자기 자본 비율은 기업의 재무 건전성을 판단하는 중요한 지표 중 하나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종완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자기 자본 비율은 회사의 자기 자본이 총 자산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자기 자본 비율 = (자기 자본 ÷ 총 자산) x 100

    여기서 자기 자본은 회사가 소유한 자산에서 부채를 제외한 부분을 의미합니다. 총 자산은 회사가 보유한 모든 자산의 합계이며, 부채는 회사가 갚아야 할 채무를 의미합니다.

    자기 자본 비율은 회사의 재무 건전성을 측정하는 중요한 지표 중 하나입니다. 높은 자기 자본 비율은 회사가 자기 자본을 기반으로 자금을 조달하고, 부채를 감당할 수 있는 능력이 높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또한, 자기 자본 비율이 높으면 부채 비율이 낮기 때문에 이자 지출이 감소하고, 재무 위험을 줄일 수 있습니다.

    반대로, 낮은 자기 자본 비율은 회사가 부채를 많이 갖고 있어 재무 위험이 높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이러한 경우에는 이자 지출이 증가하고, 재무 건전성이 약화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자기 자본 비율(자기자본률, equity ratio)은 기업이 보유한 자본금이 자산 총액 중 어느 정도를 차지하는지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자기 자본 비율을 계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자기 자본 비율 = (자기자본 / 총자산) x 100

    여기서 "자기자본"은 기업이 가지고 있는 자기자본금을 의미하며, "총자산"은 기업이 보유한 자산 총액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기업 A의 자기자본금이 10억원이고, 총자산이 30억원일 경우,

    자기 자본 비율 = (10억원 / 30억원) x 100 = 33.3%

    따라서 기업 A의 자기 자본 비율은 33.3%입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자기 자본 비율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