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자산관리

까칠한호저172
까칠한호저172

채권 투자 시에 무엇을 봐야 리스크를 줄일 수 있나요?

채권 투자 시에 기업등급이 높으면 안정적이라고 생각하는데요. 그러나 갑자가 A등급도 회사가 휘청일 때가 종종 보이는데 채권 투자 시에 무엇을 봐야 리스크를 줄일 수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0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채권 투자시 무엇을 보면 리스크를 줄일 수 있나에 대한 내용입니다.

    일단 신용등급이 중요하고 가능하면 회사채보다는

    국채 투자가 더 안정적일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이러한 채권에 대한 투자를 할떄는 국채에 대한 투자나 회사채에 대한 투자를 할 수이다고 볼 수있습니다. 이러한 채권의 경우 결국 신용등급평가기관에서 발표하는 신용등급을 가장 우선시 하여 보는 것이 좋습니다. 신용등급이 a에 가까울수록 안전한 기업이나 국가 z로 가까울수록 불안정한 국가나 기업입니다. 다만 이러한 기업의 경우 보통 d등급까지만 언급을 하며 그 사이에 알파벳의 갯수나 + -등을 붙이느냐에 따라 그 안정성 정도를 구분하기도 합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채권 투자 시 리스크를 줄이려면 부채비율, 유동비율, 이자보상배율, 영업현금흐름 등 재무 건전성을 점검해 실제 부채 상환능력을 확인해야 합니다.

    해당 산업의 경기 민감도, 규제 위험, 경영진 안정성까지 살펴 업황, 경영 리스크를 줄이는게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채권 투자시 리스크를 줄이기 위해 확인하면 좋을만한 사항은 기준금리 전망(금리가 낮다면 향후 상승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변동금리채(FRN)나 단기 채권을 고려할 수 있고, 반대로 금리가 고점이라면 장기채 투자를 고려)과 채권 등급(등급이 낮을수록 높은 금리를 제공하지만, 부도 위험도 큼), 분산투자(채권 종류도 다양하게 나눠서) 등 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채권 투자 시 리스크를 줄이기 위해서는 단순히 기업 신용등급만 보는 것을 넘어 다양한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A등급 회사채라도 부도 위험이 없는 것은 아니며, 과거에도 A등급 기업이 부도난 사례가 있습니다. 채권 투자 시 신용 리스크와 금리 리스크를 관리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신용 리스크는 채권 발행 기업이 원금과 이자를 제때 갚지 못할 위험을 말합니다. 기업의 신용 등급은 신용 리스크를 판단하는 중요한 기준이지만 절대적인 지표는 아닙니다. 신용등급만 보지 말고, 기업의 재무제표와 사업 안정성을 직접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특정 산업의 경기 변동에 민감한 기업은 A등급이라도 위험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전문가입니다.

    채권 투자 시 리스크를 줄이려면 다음을 고려하는 것이 좋습니다.

    첫째, 조금 학습이 필요하지만 그래도 투자를 하신 다면 신용등급 외에 기업의 재무제표를 분석해 부채비율, 현금흐름, 이익 안정성을 확인하세요.

    둘째, 산업 동향과 경기 사이클을 살펴 기업이 속한 섹터의 위험을 평가하세요. 챗GPT를 활용하면 좋습니다.

    셋째, 채권의 만기와 금리 민감도를 확인해 금리 변동 리스크를 관리합니다. 증권사 직원의 도움을 받으면 좋습니다.

    넷째, 분산 투자를 통해 특정 채권의 디폴트 영향을 줄이세요.

    마지막으로, 시장 유동성과 채권의 거래량을 체크해 매매 가능성을 확보하세요.

    채권투자는 주식투자보다 안정적이지만 더 많은 학습이 필요합니다. &^^

  •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엔비디아가 요즘 시장 분위기를 거의 이끌고 있습니다. 인공지능 붐이 불면서 데이터센터 수요가 치솟고 GPU 주문이 줄줄이 몰렸습니다. 빅테크들이 다급하게 물량 확보에 나서는 모습도 보입니다. 다만 이런 속도를 유지하려면 기술 차이를 계속 벌려야 하는데 경쟁사 추격이 만만치 않습니다. 반도체 공급망 불안이나 미중 갈등 같은 변수가 틈만 나면 발목을 잡을 수 있습니다. 주가가 이미 많이 오른 만큼 기대에 못 미치는 실적이 나오면 시장이 빠르게 반응할 가능성도 큽니다.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기업등급 자체보다는 기업의 파산이나 부도위기 가능성을 보고 싶다면 해당 기업의 재무제표 흐름만 보면됩니다 가장 중요한것은 영업활동현금흐름입니다 현재 기업의 영업활동현금흐름이 기본적으로 +인지 그리고 영업활동 그리고 투자활동 재무활동 모든 현금흐름을 포함해서 전기 현금흐름대비 증가하고 있는지 이를 전반적으로 나타나내는게 바로 FCF 즉 자유현금흐름이며 이 부분이 증감하고 있는지 그리고 이를 통해서 현금성자산이 얼마나 되며 이에 대해서 부채중에서 차입금부채대비 현금성자산이 더 많으면 문제가 없는 상황입니다.

    즉 이부분을 면밀히 체크하는게 더 중요하며 기업등급이 이런건 후행적으로 나오기 때문에 오히려 직접적으로 저부분을 체크하는게 더 중요하고 빠릅니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채권투자에서 가장 중요한건 이런 요소이외에 시장금리가 중요합니다 시장금리가 하락해야 채권의 가격이 올라가며 시장금리가 가파르게 올라가면 채권의 가격은 급격하게 떨어지므로 이부분에 대해서 중요시해야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신용등급이 높다고 해서 다 안전한것은 아닙니다. 현재는 좋을 수 있으나 미래 발생할 수 있는 리스크에 대하여 제대로 반영이 안되어 있을 가능성이 큽니다.

    채권 투자시 잘 판단해야 할 부분은 부채비율이 200%이하인지 현금흐름과 함께 분석을 하셔야 합니다.

    또한 단기차입금 비중이 높으면 만기 도래 시 롤오버 리스크가 크기 때문에 만기 구조도 분석해야 하며 담보가 있는지 없는지도 주요한 검토요인 중 하나입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

    채권 투자 시 리스크를 줄이려면 다음을 중점적으로 봐야 합니다. 첫째, 금리 변동에 따른 갈격 변동 위험인 “듀레이션”을 관리해야 하며, 만기가 짧은 채권ㅇ르 선택할수록 금리 리스크가 적습니다. 둘째, 발행기관의 신용등급과 재무 건정성을 확인해 디폴트 가능성을 평가해야 합니다. 셋째, 채권 포트폴리오를 다양하게 분산 투자해 특정 채권 리스크를 완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