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후기 사회, 경제적 변동에 따른 여러가지 사회적 모순에 직면, 그 해결책을 구성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사회개혁 사상이 실학이었습니다.
조선왕조가 직면하고 있던 통치 질서의 와해 현상으로 16세기부터 변질되기 시작한 조선 사회는 두 차례의 전란을 겪으며 크게 모순을 드러냈고 위정자들은 근본적인 대책을 모색하지 못했으므로 진보적 지식인들은 국가 체제를 재편하고 민생을 안정시킬 수 있는 개혁의 방안을 제시하게 됩니다.
조선왕조의 지배 원리였던 성리학이 그 사회적 기능을 다하지 못했으므로 사회의 새로운 변화에 대응하는 본질적인 대책이 요망됨에도 성리학은 합리적인 수습책을 제시하지 못해 반성과 비판이 일게 됩니다.
조선 후시 사회의 경제적 변화와 발전이 실학의 발생을 촉구, 전쟁 피해의 복구 과정에서 피지배층은 끊임없는 노력으로 경제적 발전을 추구하는데 이와 같은 발전을 촉진하고 대변하는 사상으로 실학사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조선 후기 신분 병동이 실학자들의 관심이 되는데 조선 후기 사회는 양반 중심의 신분 질서가 급속히 붕괴, 그는 정권에서 소외된 양반층의 경제적 몰락과 피지배층의 신분 상승으로 나타게 되며 이러한 사회 현실에 직면해 실학자들은 몰락한 양반층의 생계 대책과 서민층의 생존 문제에 주목하게 됩니다.
서학의 전래가 실학 사상의 형성에 영향을 끼치는데, 17세기 이해 중국에서 간행된 각종 서학 서적들이 조선에 전래되며 당시 지식인들에게 과학적이고 합리적이 사상을 전개했습니다.
청나라의 고증학고 영향을 주었는데 고증학에서는 실사구시를 내세워 학문 연구에서 실증적인 방법을 강조, 이와 같은 특징들은 조선의 지식인들에게 자극을 주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