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1.28

우리나라에서 가장 유명한 토속신앙은 무엇이었나요

안녕하세요. 종교중에서 토속신앙같은 종교도 있잖아요! 엄청 다양할거 같은데 우리나라에서 가장 잘 알려져있는 토속신앙은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순금킹 시계퀸
    순금킹 시계퀸23.01.28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우라나라에 가장 잘 알려진 토속신앙은 우리나라의 민족 종교입니다.

    산신제 수신제 장승등이 토속신앙입니다.

    무당도 마찬 가지입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정월초에는 대부분의 가정마다 인근의 무당을 불러 안택을 하며 재앙으로부터 이 집안을 보호해줄 것을 빌었고 대부분의 어촌에서는 마을 공동으로수신제를 지내는 등 한해의 풍어를 기원했습니다.또 개인의 소원이나 자식들의 출세 등 가정의 소원을 기원할 때는고목 앞에 촛불을 밝히고 정화수를 올리기도 했고 식구들의 몸이 불편하거나 하루의 꿈자리가 사나워도 우리의 선조들은 이들 토속 신앙에 빌면 모든 것이 해결될 것으로 믿었다고 하네요.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토속신앙이란 그 지방의 고유한 토착신앙을 뜻합니다.

    토착신앙은 다양한 유형이 있으며 대표적으로는 3가지 유형으로 구분됩니다.

    1. 특정 동식물을 정해두고 공동체의 상징으로 삼고 고귀하게 여기는 토테미즘이 있습니다.

    대표적인 예로 곰과 호랑이가 있습니다.

    2. 특정한 인물을 신격화 하며 믿고 따르는 샤머니즘이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무당이 샤머니즘의 색을 강하게 가지고 있습니다.

    3. 사람이나 물체에 깃들여져 있는 영적 존재를 인정하는 애니미즘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일권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우리의 토속신앙에서 성황당을 빼놓을 수 없습니다.

    성황당은 서낭당의 다른 말. 서낭신을 모신 당집이나 제단. 지방에 따라 할미당ㆍ천황당ㆍ국사당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서낭신은 토지와 마을을 수호하는 신으로 최근까지 전국에 널리 퍼져 있었다. 서낭당은 보통 신수(神樹)에 잡석을 쌓은 돌무더기나, 신수에 당집이 복합되어 있는 형태로 고개 마루, 길옆, 부락입구, 사찰입구에 위치하고 있다. 서낭당은 서낭신의 봉안처인 동시에 거소가 된다. 이 신은 천신과 산신의 복합체로 보여진다. 서낭신의 신앙에는 내세관이나 인간 정신세계의 이상(理想) 같은 것이 없고 현실적인 일상생활의 문제가 중심을 이룬다.

    외부에서 들어오는 액(厄)ㆍ질병ㆍ재해ㆍ호환(虎患) 등을 막아주는 부락수호와 인간의 현실적인 생계문제 해결에 목적이 있다. 신수에는 아이들의 장수를 위해 걸어놓는 헝겊조각, 상인의 장사를 잘되게 해달라고 걸어놓는 짚신짝, 신랑신부가 새살림을 차릴 때 부모계(父母系)의 가신(家神)이 따라오지 못하도록 신부가 자기 옷을 찢어서 걸어놓는 색헝겊조각 등이 있다. 또 통행인이 길을 안전하게 가기 위해 돌을 주워서 돌무더기 위에 던지거나 침을 뱉는데 이는 길가에 배회하는 악령의 피해를 막기 위함이다. 이처럼 서낭당은 현실적인 문제를 기원하는 곳이다. 정초에는 부인들이 간단한 제물을 차려놓고 가정의 평안을 빌기도 한다. 동해안 별신굿이나 강릉단오제는 규모가 큰 서낭제의 일종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성황당 [城隍堂] (원불교대사전)


  • 안녕하세요. 신인재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전세계적으로 토속신앙은 다양합니다.

    우리나라에서도 정말 많이 있는데요.

    그 중 자연물에 기복을 바라는 신앙이 많이 있습니다.


    마을 입구에 커다란 나무, 큰 바위등 다양한 자연물 모십니다.

    한해의 풍년을 기원하고, 마을의 안녕을 바라는 제사는 해마다 지내집니다.


    도시화가 진행되어, 우리 주변에는 보기 어려워지는게 안타깝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