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입자 입장에서 월세 1년 계약 2년 계약 어떤게 유리하나요?
세입자 입장에서 월세 1년 계약 2년 계약 어떤게 유리하나요?
보통 2년 계약으로 잠정적으로 사실 물어보지도 않고 하는데
2년이 강제가 아님을 알고 있습니다
이번에 월세 계약하는데 1년계약을 하고 싶었으나 언쟁하던 과거 기억이 있어 그냥두었는데
중개사가 묻더군요 그래서 1년계약을 했습니다
단기로 살든 , 살다가 마음에 들어 오래살게 되든 어떤 장단점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이강애 공인중개사입니다.
주택임대차보호법에 최초 계약을 2년으로 규정하고 있고 보호를 받으려면 2년 계약을 해야 합니다.
임대인과 임차인이 협의하여 임대차기간은 조정할 수 있습니다.
1년 계약해도 세입자는 2년을 주장하고 2년까지 거주 할 수 있습니다. 1년 계약하고 2년 거주해도 되고 1년 계약하고 1년만 거주하고 이주해도 되고 세입자에게는 유리합니다.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세입자 입장에서 중도해지 없이 거주를 지속하게 된다면 2년 계약이 유리합니다, 이유는 1년계약만기후 연장이 될 경우 임대료나 보증금 인상이 가능하기 때문에 동일조건으로 2년을 거주하는 것보다 부담이 늘어갈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래서 월세임대차 경우 임대인들이 1년계약을 선호하는 이유이고 임차인 입장에서는 2년을 선호하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고경훈 공인중개사/행정사입니다. 질문에 답변드리겠습니다. 임대차계약기간에 대한 질문으로 보입니다.
관련 법령에 의하면 주택은 2년, 상가는 1년을 기본으로 하고 있고, 이 기간보다 짧은 임대차계약기간은 임대인과 임차인간 협의에 의해서 결정합니다. 전자의 기간보다 짧게하는 경우 임차인의 선택에 따라 주택인 경우 2년 거주를 주장할 수도 있습니다. 계약기간의 선택 문제는 임차인의 여건 등을 고려하여 판단해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조장우 공인중개사입니다.
2년 계약 보다는 1년 계약이 더 낫습니다. 그 이유는 월세방을 살다보면 맘에 안드는 환경이나 혹은 마음에 안드는 세입자 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이렇게 지내다 보면 다른 방을 옮기고 싶어 할 수도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1년을 더 살아야 하는 것보다는 1년 지내보고 더욱 싼 월세나 조금더 상황이 좋아짐에 따라 다른 부동산으로 이동할 수 있는 1년이 2년보다 더 나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