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유아교육

순한참매12
순한참매12

아이 사회성치료 도움이 많이되나요?

아들이 초등학교 1학년인데 친구들하고 노는것을 본적이 없습니다. 얘들이 인사하도 인사를 잘 안하고 같이 어울려 놓지 않습니다. 발달센터에서 전문가에게 맡기는게 좋을까요? 개인적으로 어떤 교육을 시켜야하는지 문의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전문가에게 상담을 받기 전에

    집안에서 혼자 놀때의 모습은 어떠한지,

    혹시 애완동물이나 다른 미디어, 게임을 할때의 모습은 어떠한지 확인이 필요하고

    그냥 성격 때문 인건지, 다른 문제가 있는 건지는 확인이 필요할 거 같습니다.

  • 우선은 아이와 이야기를 해보시는것이 좋을수있으며

    아이에 따라서 혼자노는것을 좋아할수도 있으며

    아이가 이러한것에 불편하고 어려움을 느낀다면 그때 아이와 교육을 받아보시는것도 좋겟습니다.

  • 아이가 사회성 발달이 미흡한 이유는

    제일 먼저 아이의 기질을 아셔야 합니다.

    아이의 기질이 내성적이고, 소극적이고, 부끄러움이 많고,낯가림이 심한 기질을 가지고 있다면

    사람과 환경에 대해 예민하고 민감하게 반응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사람들과 상호작용을 하는 것이 힘들 수 있습니다.

    이러한 기질을 가지고 있는 아이들은 사람과 환경에 대해 익숙해 질 수 있는 시간을 충분히 주는 것이 좋은데요.

    그렇다고 마냥 아이가 사람과 환경에 대해 익숙해 질 수 있는 시간을 기다린다면 아이는 사회생활을 하면서 많은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가정에서 해주실 것은 역할극을 해보도록 하세요.

    역할극을 하면서 친구에게 다가가는 방법, 상황에 맞는 행동과 언어 그리고 자신의 감정과 생각을 표현하는 방법까지 알려주도록 하세요.

    또한 아이의 심리적인 부분도 살펴봐주는 것도 좋아요,

    아이의 감정을 들여다보고 아이의 감정을 돌봐주는 것도 도움이 되겠습니다.

    하지만 아이가 나아지지 않는다면 센터에 방문하여 치료를 받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 개인적인 의견입니다.

    아이가 친구들과 노는것보다 혼자 노는것을 더 좋아하는 거 같아요.

    그외 다른 행동에는 이상은 없는지 잘 지켜보는것이 좋겠어요.

    집에서는 같은반 친구들을 초대해서 아이가 함께 소통하며 놀 수 있는 자리를 만들어 주거나

    친구들과 좋아하는 운동이나 키즈카페 등을 가서 신나게 활동할 수 있게 해줘보세요.

    만약 아이가 그러한 활동에도 혼자만 있거나 친구들과 소동이 되지 않는다면

    조심스럽지만 정신건강 상담 받아보는 것도 생각해보는 것은 어떨까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일반적인 초등학교 1학년의 모습은 수업시간을 제외하고 쉬는시간, 중간놀이활동 시간, 점심시간마다 학교에서 친구들과 신나게 뛰어놀고 소통하고 지내는 것이 일반적인 초등학교 1학년의 모습입니다. 현재 우려하고 계시는 것은 아이가 사회성이 부족해서 혹은 사회성에 문제가 있어서 친구들과 어울려 지내지 못한다는 점인데요.

    이 점은 가장 먼저 담임선생님과 상담을 나눠 보셔야 합니다. 또한 학교에 특수교사 선생님이 계실 겁니다. 특수 교사 선생님께도 상담을 요청하셔서 아이의 모습에 대해 조언을 들어보시는게 우선순서입니다.

    그래서 이렇게 담임 선생님과 특수 교사 선생님의 조언을 먼저 구하고 아이에게 전문기관과 전문센터에 도움이 필요하다는 판단이 서게 되면 그때 또 특수 선생님께서 도움을 주실만한 부분을 설명해주실 수도 있답니다.

    질문주신것처럼 확실히 전문기관과 전문가 선생님들의 도움을 받으면 부모들 단독으로 케어하는것보다 아이들의 사회성이나 여타 다른 능력들도 상당히 좋아질 수 있습니다. 많은 걱정이 되시겠으나 일단은 차분하게 학교 선생님들과 상담을 먼저해보시는게 우선입니다.

    그리고 부모님들께서는 가정에서 아이 혼자 놀게하지 마시고 함께 놀이를 해주시며 어떤식으로 친구들과 친해질 수 있는 차근차근 알려주세요. 그리고 외부 활동을 함께 주기적으로 해주시는것도 큰 도움이 됩니다.

    예를들면, 캠핑, 어린이 스포츠 활동(수영,축구,태권도,방송댄스)등도 사회성 개선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치료가 필요한지 경험이 필요한지 부터 파악을 해보셔야 할 것 같습니다. 사회성에 문제가 있다 판단되시면 상담사와 상담부터 진행을 해보시는 것이 좋을 듯 하고, 그 결과를 보고 판단 하시면 될 것 같네요. 치료가 아니라 경험이 필요한 아이라면 또래 집단에서 어울리는 경험을 좀더 적극적으로 많이 시켜주실 필요가 있습니다.

  • 사회적인관계에문제가있다면

    1.발달적측면에서파악해보기

    2.사회적관계트라우마파악하기

    3.연습과교육등이필요

    치료를받는것도좋은방안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