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내과 이미지
내과의료상담
내과 이미지
내과의료상담
옹골진사슴벌레218
옹골진사슴벌레21821.05.13

분노조절장애는 치료받아야 하나요?

동생이 사람들과 같이 있지못하고 자꾸 화를내는데

주변서 분노조절 장애같다하네요

어릴때부터 혼자 쳐박혀있기만해서

직장도 못다니고 집에만 있다가

최근 몸이아파 병원에 입원하게됐는데 주변서

다들 함께 못있겠다고 정신병원엘 가보라하네요

본인은 아니라하는데 주변사람들이 못살게 해서 그렇다하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조성진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분노의 감정을 느낄 때 마음 챙김, 명상, 복식호흡 등과 같은 방법으로 감정을 해소하고 긴장을 이완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명상, 마음챙김 등을 생활 속에서 연습하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분노의 부적절한 표출로 인하여 가정, 사회 생활에 영향을 준다면 전문가와 상담하여 치료받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최정수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분노조절장애는 정신과 적인 질병으로 약물, 행동치료, 인지치료 등으로 치료할 수 있습니다. 정신과 의원에서도 진단가능하며 입원이 필요한지 등의 여부는 역시 정신과 진료를 받아보고 결정을 해야합니다. 하지만 환자 본인이 진료를 거부하면 치료시기를 놓칠 수 있어서 잘 설득하셔서 진료를 보게 하시는게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최정수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분노조절장애는 정신과 적인 질병으로 약물, 행동치료, 인지치료 등으로 치료할 수 있습니다. 정신과 의원에서도 진단가능하며 입원이 필요한지 등의 여부는 역시 정신과 진료를 받아보고 결정을 해야합니다. 하지만 환자 본인이 진료를 거부하면 치료시기를 놓칠 수 있어서 잘 설득하셔서 진료를 보게 하시는게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승현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힘들겠지만, 동생을 설득시켜서 치료를 받게 하는 편이 나을 것 같습니다.

    정신적 지지 치료 및 약물 복용을 하면 동생의 상태가 나아질 가능성 높으니 너무 걱정하지 마십시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 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김승현 의사 드림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정진석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분노조절장애가 심하다면 치료 받는 것이 필요합니다. 다만

    약물적 치료의 효과는 아직 확정된 바는 없습니다. 하지만 충동성에 대하여 기분조절제, 항경련제 등을 사용하기도 하며, 동반되는 불안 증상 혹은 강박증상이 있을 경우에는 항불안제(신경안정제)가 도움이 되기도 합니다.
    비약물적 치료로 인지행동치료를 통하여 분노를 표현하기 전의 인지에 대해 적절한 대안적 사고로 전환할 수 있도록 합니다. 또한 분노를 일으킬 만한 상황을 노출하고, 분노를 표출하지 않도록 하는 노출 치료 역시 약간의 효과가 있다고 밝혀져 있습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정진석 치과의사 드림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서민석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동생분이 많이 힘드실 듯 하네요. 일상 생활에 지장을 준다면, 물론 본인이 괜찮다고 해도 주변에서 영향을 받는다고 하면 일단 정확한 확인을 해보는 것이 좋을 듯 합니다. 어디에 문제가 있는지는 상담을 통해 확인하고 필요하다면 항불안제를 사용해 보는 것도 좋을 듯 합니다.

    서민석 드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