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청렴한치타291
청렴한치타291

과학의 발전을 염원하며 불가능한 질병의 해결을위해 시도하는 냉동인간은 사실 아직 불가하다는 주장은 왜그런가?

과학채널 등에서 보면

금붕어 를 액체질소에 넣었다가

바로 다시 물에 넣으면

좀만 있으면 다시 소생하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공상과학 영화에서는

인간을 냉동했다가 수백년 뒤에 다시 해동하며서 깨어나는 모습도 보여줍니다만

현재의 냉동인간 관련이라면

지금 의학기술로는 도저히 치료가 불가한 질병으로 사망한 사람들이

생전에 그 질병의 치료를 후대의 기술로 가능하리란 믿음으로

거액을 지불하고 본인들의 사체를 냉동보존하는 경우를 보고있습니다만

실제 과학적인 견해에서는 이런 냉동인간 보존 기술은

사실 소생할 가능성이 없는 불가능한 기술이라고 주장하는데요

어떤 근거로 그렇게 주장하는 지 알 수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냉동인간 기술이 현재 불가능하다고 여겨지는 주된 이유는 신체 전체를 손상 없이 냉동 및 해동하는 기술이 없기 때문입니다. 인간의 신체는 금붕어와 같은 작은 생물보다 훨씬 복잡하고 거대한 구조를 가지고 있어, 냉동 시 세포 내외에 생성되는 얼음 결정이 세포막과 조직을 물리적으로 파괴하는 문제가 발생합니다. 이러한 손상을 막기 위해 동결보호제를 사용하지만, 현재의 동결보호제는 높은 농도에서 그 자체로 독성을 띠며, 신체 모든 기관에 균일하게 침투시켜 얼음 결정 형성 없이 완벽하게 유리화 상태로 만드는 것 또한 매우 어렵습니다. 더불어 뇌와 같이 복잡하고 민감한 기관의 신경망 구조와 기능을 손상 없이 보존하고, 이후 완벽하게 해동하여 되살리는 기술은 현재 과학 수준으로는 불가능한 영역으로 간주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안상우 전문가입니다.

    현재로써는 세포를 손상되지 않도록 냉동을 할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런 조직을 원래대로 회복하는 기술이 개발되지는 않았습니다. 냉동이 되면 세포가 비가역적으로 불활성 되기 때문에 회복을 시키지 못한다는 의견이 대다수 입니다.

    하지만 기술의 발달은 매우 빠르게 진행되기 때문에 냉동인간을 회복할수 있는 기술이 나올수도 있습니다.

    1명 평가
  • 냉동인간이 아직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고 하는 이유는 크게 두 가지, 즉 냉동 과정에서의 손상 문제와 해동 및 소생 기술의 부재 때문입니다.

    인체의 70%를 차지하는 물이 얼면서 부피가 팽창하고 뾰족한 얼음 결정을 만들게 되는데, 이 결정들이 세포막과 조직을 찢어 영구적인 손상을 입힙니다. 이 손상을 막기 위해 혈액을 빼고 동결 방지제를 주입해 얼음 생성을 막지만, 이 물질 자체가 독성이 있어 나중에 완전히 제거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죠.

    그러나 무엇보다 가장 큰 난제는 냉동된 인체를 손상 없이 균일하게 녹이는 기술이 없다는 것입니다. 일부만 녹거나 온도 차이로 인해 추가적인 손상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게다가 기억과 의식을 담고 있는 뇌 세포는 특히 민감하기 때문에, 미세한 손상이라도 냉동-해동 과정을 거치면 기능을 잃을 가능성이 큽니다.

  • 안녕하세요. 네, 질문해주신 것과 같이 냉동인간은 과학과 대중문화 사이에서 자주 혼동되는 분야인데요, 현재 과학계에서 냉동인간 부활이 불가능하다고 보고 있습니다.

    우선 금붕어 실험처럼 보이는 장면은 사실 액체질소에 넣었다가 바로 꺼낸 것으로, 단순히 겉면이 얼어도 중심부는 완전히 얼지 않아 잠시 기절했다가 살아나는 경우에 가까운데요, 따라서 금붕어 전체가 체내 깊숙이까지 영하 수십 도 이하로 얼어붙었다가 다시 살아난 것이 아닙니다. 인간의 몸을 액체질소를 이용하여 영하 196℃까지 냉각하면 세포 안의 물이 얼음 결정으로 변해 세포막과 세포기관을 물리적으로 파괴하게 되며 이 손상은 되돌릴 수 없습니다. 물론 일부 연구에서는 물 대신에 냉동 보호제를 넣어 얼음이 아니라 유리처럼 고정되는 기술을 사용하지만 이 보호제가 독성이 강하고, 수백조 개의 세포에 고르게 퍼뜨리는 것도 불가능에 가깝습니다. 또한 인간처럼 큰 생명체는 단일 세포가 아니라 복잡한 장기와 혈관 네트워크로 이루어져 있는데요 따라서 냉동 과정에서 혈액이 응고되거나, 혈관이 얼어붙으며 미세혈관이 파괴됩니다. 특히 뇌의 시냅스 구조와 신경망은 극도로 민감하여, 해동 후 원래의 신경 회로를 유지하기 어렵습니다. 감사합니다.

PC용 아하 앱 설치 권유 팝업 이미지장도연이 추천하는 아하! 앱으로 편리하게 사용해 보세요.
starbucks
앱 설치하고 미션 완료하면 커피 기프티콘을 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