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검소한큰고니230
검소한큰고니23022.11.26

물가 상승하는 기준은 어떻게 잡는 거죠?

보통 물가상승 금리 인상 원자재 값 인상 등 뭐 등락 폭이 결정되잖아요 그런데 이런 기준은 어디에서 잡아서 나오는 것인가요 물가 인상 같은 경우 전 세계적인 기준이 있나요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매년 OECD는 전년 대비 각국의 주요 재화와 서비스 가격을 비교해서 공표합니다. 한국은 지난 2020년을 100으로 주요 재화와 서비스 가격을 비교한 물가지수를 발표합니다. OECD도 마찬가지로 매년 각국의 물가 상승률을 비교하여 발표합니다.

    아래 한국은행의 물가 관련한 정의와 각 국의 물가지표 비교 관련 사항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https://www.index.go.kr/unify/idx-info.do?idxCd=4226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물가인상률의 기준은 각 나라마다 조금씩 상이하게 기준을 잡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소비자물가지수는 가구에서 일상생활을 영위하기 위해 구입하는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변동을 측정하기 위하여 작성되는 지수로서 총 소비지출 중에서 구입 비중이 큰 약 460여 개 상품 및 서비스 품목들을 정하고 이를 대상으로 조사된 소비자 구입가격을 기준으로 산정하게 됩니다.

    미국과 우리나라의 소비자물가지수 중 '주거비 물가'를 산정하는 방식이 다르다 보니 우리나라가 적게 오른 것으로 많이 표현됩니다. 미국은 임차인이 내는 전·월세 말고도, 집을 소유한 사람이 전·월세로 거주할 경우를 가정해 산출하는 비용을 주거비에 포함하게 됩니다.

    그리고 이를 통해 집값 상승분을 물가에 일정 부분 반영하게 되는데, 이 항목을 ‘주택 소유자의 등가 임대료(OER)’라고 하며 전체 물가에서 약 24%를 차지할 정도로 비율이 큽니다. 미국뿐 아니라 일본·스위스·영국 등도 이 OER을 포함해서 물가를 산정하게 됩니다.

    이에 반해서 우리나라는 전·월세만 반영할 뿐, 자가주거비는 물가에 포함하지 않게 되니 결국 집값 상승기에는 체감 물가보다 통계로 산출되는 물가가 낮을 수밖에 없습니다. 결국 통계 작성 방법의 차이 때문에 집값 상승기에 미국 물가가 한국보다 훨씬 가파르게 오르는 것처럼 보이는 ‘착시’가 일어나는 것입니다.

    위의 사진을 보시게 되면 다른 부분에 대한 비율은 크게 차이가 나지 않지만 '주거'항목에 대한 부분이 크게 차이가 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OER을 빼고 주거물가지수를 산정하게 되니 우리나라의 인플레이션이 다른 국가에 비해서 매우 낮게 보여 마치 우리나라는 인플레이션에서 그나마 자유롭다라는 착각을 주게 되는 것이니 정부를 너무 믿으시는 것이 좋지는 않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와 같은 경우에는 현재 전국 37개 도시에서 481개의 상품 및 서비스 품목을 대상으로

    소비자구입가격을 조사하여 기준시점인 2010년의 소비자물가수준을 100으로 한 지수 형태로 작성하여

    공표하고 있고 위 통계는 통계청에서 담당하고 있으며 해당 지수를 산출할 때에 국가별로 다소 차이가 있으니

    참고하세요.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11.26

    안녕하세요. 이정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물가상승의 기준은 물가지수로 기준을 잡습니다. 물가지수는 해당 연도의 물가수준을 기준 연도의 물가수준으로 나누어 100을 곱합니다. 따라서 물가지수가 100보다 높다면 기준연도보다 전반적인 가격이 상승한 것이며, 반대의 경우 전반적인 가격이 하락한 것입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경제&금융 분야, 재무설계 분야, 인문&예술(한국사) 분야 전문가 테스티아입니다.

    * 일반적으로 물가 지수를 활용하는데, 주요 물품, 서비스의 가격을 지수화해서 이를 '소비자물가지수(CPI)'와 '생산자물가지수(PPI)'로 나눠서 발표합니다. 이 중에서 특히 소비자물가지수 동향을 중요하게 생각하며, 사실상 미국 CPI가 가장 중요한 CPI라 할 수 있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