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저축성 보험 이미지
저축성 보험보험
저축성 보험 이미지
저축성 보험보험
신중한문어144
신중한문어14421.04.13

직장 단체실비보험 유지해야 하나요?

직장에서 연 15만원 정도에 개인실비보험과 거의 비슷한 보험이 가입되어 있습니다.

퇴직 후 실비보험 혜택을 위해 단체보험을 탈퇴하고 지금이라도 개인실비 보험을 들어야 할까요?

아니면 퇴직 후에 개인실비 보험을 가입해도 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보험 분야 지식답변자 박경식보험전문가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 일단 2개가 있어도 중복보장이 안되죠.

    하나만 있으면 되는데요!

    직장에서 단체보험을 가입한경우 중복보장도 안되는데

    퇴사시 보험이 없어지는 걱정때문에 중복가입하는 경우가 많죠!

    보험회사에서 부당한 이득을 취하는 거기때문에

    합리적인 제도 2가지가 생겼으니 참고해 주세요^^

    ■ 2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1) 퇴직할때 직장단체실손에서 개인실손으로 전환하는것

    : 이건 비추입니다. 위에서 보듯이

    5년간 보험금 수령액이나 10대질병사항등을 심사하기 때문에 보험가입이 안될수도 있습니다.

    1) 개인실손 가입후 ===> 중지 ----> 퇴직시 재개 하는것!

    : 저는 이게 맞는 방향인거 같습니다.

    재개시 심사조건이 없기 때문에 이게 맞는거죠!

    단, 실비 가입후 1년이 지나야 중지가 가능합니다.

    빨리 준비하시고 1년후 중지해두세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보험 분야 지식답변자 보험전문가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단체보험과 개인보험 모두 중복으로 유지하실지 아니면 단체보험만 유지하실지는 아래를 읽어보시고 판단하시면 좋을거 같습니다.

    1. 중복보상은 안되지만 한도금액은 2배입니다.

    - 실손의료비는 중복보상은 되지 않지만 한도는 단체보험+개인보험으로 되어 한도금액 이상금액 청구시 모두 처리받을수 있습니다.

    다만 한도금액 이상처리건은 드물기때문에 큰 이점이 아닐수 있습니다.

    2. 회사를 다니던중 퇴직하면 그때 실손의료비는 가입이 어려울 수있습니다.

    - 보험을 가입하기 이전 계약전 알릴의무를 통하여 보험인수심사를 거치게 됩니다. 나이가 들어갈수록 병력이 생길 확률이 높아 퇴직 후

    새로운 실손의료 가입을 생각하고 계시면 그때는 이미 병력으로 보험가입이 어렬울수 있습니다.

    3. 실손의료비는 주기적으로 개정되어 보장율이 낮아지고 있습니다.

    - 현재 실손의료비는 3세대까지 개정이 되었고 올 7월 4세대로 개정 예정에 있습니다. 세대를 거듭할수록 보장율이 점점 낮아지고 있음으로 향후 가입시 현재보다 보장율이 안좋은 상품에 가입하실 확률이 높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보험 분야 지식답변자 최용수 보험전문가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실손보험은 중복 보장이 되지 않습니다.

    보통 단체 실손보험의 보장한도는 개인 실손보장 한도보다 작습니다.

    단체 실손보험이 개인 실손보험과 비슷하게 보장이 되어 있다면 회사의 단체실손보험만 갖고 가시는게 좋을 듯 합니다.

    어차피 지금 가입하셔도 중복보장이 되지 않고 개인실손보험은 갱신시 마다 보험료가 인상되기에 직장을 퇴사를 하는 시점에 가입하시는게 좋아보입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1.04.14

    안녕하세요? 아하(Aha) 보험 분야 지식답변자 정광성 손해사정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의료 실비의 경우 실손 보상 상품으로 여러개 가입되어 있더라도 중복 보상이 안됩니다.

    단체 실비가 있다면 개인 실비는 필요 없을 것이며 향후 치료시 가입하시면 될 듯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성준 보험전문가입니다.

    납입 중지 후 퇴직할 때 재게하시면 됩니다

    항상 특정 보험사보다는 보험 비교 몰에서 동일한 조건, 보장 대비 저렴한 곳에서 가입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저의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늘 건강하시고 좋은 일 가득하세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보험 분야 지식답변자 이준식 보험전문가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퇴직 시점에 건강내용에 따라 가입 가능여부가 갈립니다. 때문에 저라면 개인 실비를 적용할 것 같습니다.

    다만 단체 실손에서 한도가 1천 이내로 가입되어 있어야 가능합니다.

    단체실손의 한도가 대부분 1천으로 적기 때문에 저라면 병행 할 것 같습니다. 작은금액은 동일하지만 큰 질병이 왔을때에는 한도가 중요하니까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보험 분야 지식답변자 이지원 보험전문가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개인실비는 지금이라도 빨리 가입을 하셔야 합니다.

    단체보험에 경우 연단위 단기 계약으로

    해당 년도에 실손 기준으로 적용 되기때문에

    아무래도 보장이 축소되고 있습니다.

    ●3세대실손(착한실손)

    -판매시기:2017.4월~2021.6월

    -장점:1,2세대실손에 비해 보험료 많이 저렴

    특약형 선택 가입가능(mri/mra,비급여주사,비급여증식치료,도수치료등)

    보상범위 넓어짐

    -단점: 자기부담율 급여10%,비급여20%,선택특약(입통원상관없이)30%

    ●4세대실손

    -판매시기: (2021.7월~)

    -장점: 3세대보험료보다 더 저렴

    보장확대(입통원 보장금액확대

    -단점: 1년갱신 5년재가입, 보험금청구 다발자에겐 1년 최대300%까지 인상예정


  • 안녕하세요? 아하(Aha) 보험 분야 지식답변자 조정기 보험전문가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질문자님 가능하시다면 개인실손보험을 가입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직장에 다니는 동안은 문제가 없지만 퇴사를 할때쯤 유병자가 될 확율이 있습니다. 그때가 되면 실손보험을 다시 가입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가능하시면 개인실손을 가입하고 계시는 것이 나중 퇴사이후까지 생각하면 훨씬 유리합니다. 물론 시대가 좋아져서 직장의 실손을 퇴사이후 개인실손으로 전환해준다면 더 없이 좋겠지만 아직까지는 그것이 가능하지 않으니 개인실손을 잘 준비하시기를 추천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