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F 에서 세금은 어떤방식으로 세금을 내나요?
제가 ETF를 시작했는데 세금이 비과세가 있고 없는것도 있고 상당히 어렵더라고요 그리고 세금으로 많이 가져간다고 한다는데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etf에서 세금의 경우 크게 양도소득세와 배당소득세가 발생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양도소득세의 경우 주식이나 etf 등의 매도를 통해 발생한 소득에 대한 것이 반영이 된 것이라고 볼 수 있으며, 이러한 세율은 약 20% 정도라고 볼 수 있습니다. 다만 코스피 지수인 코스피 200을 추종하는 etf의 경우에는 양도소득세가 없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배당소득세의 경우에는 etf자체의 배당금이 존재할떄 발생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ETF의 세금에 대한 내용입니다.
ETF의 세금은 ETF의 종류에 따라 다른데
국내 주식형 ETF는 매매차익이 비과세이지만
국내상장 해외 ETF는 매매차익과 분배금 모두 세금이 부과돌 수 있다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ETF는 국내 주식형상품은 매매차익에 대해서는 비과세 되는 구조입니다 다만 파생상품형이나 해외주식형 그리고 대체자산인 금이나 원자재등이런 상품은 매매차익에 대해서 배당소득으로 분류가 되어서 15.4프로가 과세되며 ETF에서 발생된 주식배당은 분배금으로 똑같이 배당소득으로 채권처럼 발생된 이자는 이자소득으로 분류되어 15.4프로가 과세됩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국내 주식형 ETF의 매매차익은 대부분 비과세지만, 해외 지수를 추종하는 국내 상장 ETF나 채권형 ETF의 매매차익 및 모든 ETF의 분배금은 배당소득세 15.4%가 부과됩니다. 그리고 연 2천만원 초과 시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이 됩니다.
또한, 해외 상장 ETF의 매매차익은 양도소득세 22%(연 250만원 공제)가 부과됩니다.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전문가입니다.
ETF 세금은 ETF 유형별로 다릅니다.
1. 국내주식형 ETF (KOSPI 추종 등): 매매차익 비과세, 분배금 15.4% 배당소득세.
2. 기타 국내상장 ETF (해외/채권/원자재): 매매차익 배당소득세 15.4% (과표기준가 기준, 연 2천만 초과 종합과세), 분배금 15.4%.
3. 해외상장 ETF: 매매차익 양도소득세 22% (연 250만 초과), 분배금 15.4%.
세금 부담 크지 않으나, ISA 등 절세계좌 활용하면 세금을 줄일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