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기타 의료상담

완전히맛있는식빵이좋아
완전히맛있는식빵이좋아

전염과 감염의 가장 큰 차이는 무엇인지 궁금 합니다.

성별
여성
나이대
49

예전에는 전염병이라고 했었던것이 지금은 감염병으로 바뀌었는데요

이렇게 바뀐 이유가 있을건데 전염과 감염의 가장 큰 차이는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감염과 전염은 헷갈릴 수 있습니다. 감염의 경우에는 병원을 일으키는 병원체가 체내에 침투를 하여서 자리를 잡고 증식하면서 질병을 일으키는 것을 의미합니다. 전염의 경우에는 병원체에 감염이 된 사람에게서 감염이 되지 않은 다른 사람에게로 병원체가 옮겨가서 감염이 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전염병이 아니라 감염병이라고 부르는 것은 전염에 의해서 감염병이 발생하는 경우가 절대 다수이긴 하지만 꼭 해당 질환들이 전염으로만 발병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배병제 의사입니다.

    전염병이 감염병이라는 용어로 변경된 것은 의미를 보다 명확하게 하기 위함이라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전염은 감염성 질환이 사람 간에 퍼지는 사건을 의미하는 반면에 감염이라는 것은 바이러스, 세균 등의 병원체가 몸에 들어와 증식하는 과정을 통틀어 의미합니다. 그러니 감염병이라는 용어가 더 포괄적이면서도 정확한 표현이라 용어가 변경된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나영 의사입니다.

    전염병은 사람간 접촉 등으로 전파되는 질병을 의미하고, 감염병은 세균이나 바이러스, 곰팡이 등의 병원체에 감염되어 발생하는 모든 질병을 뜻합니다. 감염병이 조금 더 큰 개념이며 전염병은 사람 간 전파에 좀 더 초점을 맞춘 개념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안상우 치과의사입니다.

    전염은 병균을 다른 사람에게 옮기는 것을 의미 하며 감염은 이렇게 옮겨진 바이러스나 병균에 의해서 몸에 염증반응등이 일어나는것을 의미 합니다.

    이전에는 사람들간의 전파가 급속히 되다 보니 전염병이라고 했지만 현재 백신접종등으로 사람들의 면역력이 올라가면서 전파가 상대적으로 낮아지게 되었습니다

    이런 상황은 전염병이라는 의미보다 개인적으로 감염이 된 감염증을로 바뀐 이유가 될수 있을것이라 생각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록희 한의사입니다.

    '전염병'이라는 용어가 '감염병'으로 바뀐 이유는 질병 관리의 범위를 확대하고 명확히 하기 위해서입니다. 과거 '전염병'은 사람 간 전파되는 질환만을 의미했지만, '감염병'은 전염성 질환뿐만 아니라 비전염성 질환까지 포함하여 병원체와 관련된 모든 감염 상태를 포괄합니다. 이는 국제 보건 환경 변화와 신종 감염병에 대응하기 위한 법적·행정적 정비의 일환으로 이루어졌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의 의료상담 전문가 의사 김민성입니다. 질문해주신 내용 잘 읽어보았습니다.

    전염과 감염의 개념은 밀접하지만 약간의 차이가 있습니다. 전염이란 한 사람에게서 다른 사람으로 병원체가 옮겨가는 과정을 의미하며, 주로 직접적인 접촉이나 비말을 통한 빠른 전파를 강조합니다. 반면에 감염은 병원체가 몸에 들어와 증식하며 질병 상태를 일으키는 것을 뜻합니다. 따라서 모든 전염이 감염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감염은 전염 외에도 다양한 경로를 통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최근 "감염병"이라는 용어로 변화된 이유는 전염의 경로 뿐만 아니라 병원체의 감염 과정까지 더 폭넓게 이해하고자 하는 의도를 반영한 것으로 보입니다.

    저의 답변이 궁금증 해결에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채홍석 가정의학과 전문의입니다.

    업로드해주신 증상의 설명과 자료는 잘 보았습니다.

    병원체에 감염이 되는 것이 감염 infection 입니다

    감염된 상태에서 병을 옮긴다면 전염 contagion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