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큰레아34
큰레아3423.05.08

화장의 장례의식은 언제 생겨난 것인가요?

요즘에는 사람이 죽으면 대부분 화장을해서 유골을 함에 넣고 추모관에 보관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화장의 장례의식은 언제 생겨난 것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정중한해파리168입니다.

    조선 성종 대 국법으로 금지된 화장은 구한말 조선 침략에 혈안이 된 일본 제국주의자들을 따라온 이민족의 손에 의해 다시 부활(?)하게 되었다.

    19세기 후반 일본인 거류민단이 한성부에 설치된 후 약 20년 동안에는 화장하는 설비가 없어 장례를 치르려면 양화진이나 한강 제방에 모여 했다고 한다. 이 기록으로 보아 당시까지 한성부나 주변에 화장터가 없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이런 불편 때문에 일본인 거류민단에서는 자신들이 필요한 화장장을 마련하려고 노력하게 되었다. 그래서 일본 영사관에서 한성부와 교섭을 한 결과, 1901년 고양군 한지면 신당리 수구문 밖 송림(松林)1) 안의 땅 70여 평을 대여받게 되었다. 그들은 그 땅 위에 일인들의 기부금 등 총 1,200여 엔을 들여 기와로 지붕을 덮은 38평의 벽돌 건물을 1902년 5월 10일에 완공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