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리의 개념과 장기적인 투자에서 복리가 얼마나 유리한지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복기와 단리의 차이는 자산을 불리는 데 중요한 개념이라고 하는데요 복리의 개념과 장기적인 투자에서 복리가 얼마나 유리한지 알려주세요
복리의 개념은 투자자가 원금뿐만 아니라 이자나 배당금도 재투자를 하여 시간이 지남에 따라 투자수익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는 개념입니다. 복리에서 발생한 배당금을 다시 재투자 할 시 기존 투자금에 합산되어 다음 기간에는 더 큰 배당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복리는 이자에 이자가 붙는 방식으로, 시간이 지날수록 자산이 기하급수적으로 성장합니다.
단리는 원금에만 이자가 붙기 때문에 성장 속도가 상대적으로 느립니다.
장기적으로 볼 때 복리는 자산 증식에 있어 강력한 레버리지 역할을 하며,
꾸준한 투자와 시간이 함께할수록 복리의 효과는 극대화됩니다.안녕하세요. 신정훈 경제전문가입니다.
간단하게 설명을 드리자면 우선 10퍼센트의 수익을 연마다 낸다고 생각해봅시다. 그런데 만약 단리로 수익을 내면 100만원에서 1년뒤에는 110만원이고 2년뒤에는 120만원 3년뒤에는 130만원 입니다. 하지만 복리로 연 10퍼센트의 수익을 내면 1년 뒤는 110만원으로 같지만 2년뒤 부터는 121만원 3년뒤데는 133.1만원으로 점점 수익이 차이가 남을 볼수가 있습니다.
즉 수익의 측면에서는 무조건 복리가 유리하고 자산을 굴릴때에도 크게 불리고 싶다면 반드시 복리를 이용한 투자를 하셔야 합니다.
복리는 일정 기간마다 발생하는 이자를 원금에 더한 뒤 그 합계에 다시 이자가 붙는 방식입니다.
처음에 투자한 금액뿐만 아니라 이자까지도 다음 기간의 이자 계산에 포함되기 때문에 시간이 지날수록 자산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게 됩니다.
예를 들어, 1,000만 원을 연 5% 단리로 10년간 투자하면 매년 50만 원씩, 총 500만 원의 이자가 붙어서 10년 뒤 총액은 1,500만 원이 됩니다.
하지만 같은 조건에서 복리로 투자하면 이자는 매년 불어난 금액에 대해 계산되므로 10년 후 약 1,628만 원이 됩니다.
시간이 더 길어질수록 이 차이는 점점 더 커집니다.
장기적인 투자에서는 복리의 효과가 매우 뚜렷하게 나타납니다.
안녕하세요. 허찬 경제전문가입니다.
복리란 처음 넣은 원금의 이자를 합쳐서 그 다음해에 해당 금액의 이자를 받는 것을 말합니다. 원금이 점점 커지는 효과가 생기면서 수익률이 매우 커지게 됩니다. 예를 들어 5% 복리로 5년간 쌓이게 된다면 원금 대비 27% 금액이 증가하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이태영 경제전문가입니다.
복리는 투자 원금뿐만 아니라 발생한 이자에도 다시 이자가 붙는 개념으로, 시간이 지날수록 수익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는 효과를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100만 원을 연 10% 복리로 30년간 투자하면 약 1,745만 원이 되어 단리 투자보다 훨씬 큰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장기 투자에서 복리 효과는 마치 눈덩이가 굴러가듯 자산을 크게 불려주는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복리의 개념과 얼마나 유리한가에 대한 내용입니다.
일단 복리는 이자에 이자를 더한다는 개념으로 보셔야 합니다.
즉, 매번 이자를 받으면 그것을 재투자해서 그 이자에까지도 이자를 받는 것입니다.
단리와 복리의 이자 액수 차이는 크며
예시로 1,000만원을 연 4퍼센트의 단리와 복리로 계산하면
50년이 지나면 단리에서 얻는 이자액수의 두배를 복리에서 얻게 됩니다.
단리는 원금에 대한 이자만 지급하는 것이고, 복리는 원금에 이자가 붙으면 그 다음에는 원금+이자에 대한 이자까지 주는 방식입니다. 복리가 이자에까지 이자가 붙는 만큼 돈이 모아지는 속도는 단리보다 훨씬 빠릅니다.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복리란 원금에 붙은 이자에 다시 이자가 붙는 방식입니다. 즉, 이자가 쌓일수록 이자가 계산되는 기준 금액이 늘어나면서 시간이 지날수록 이자가 눈덩이처럼 불어나는 효과를 말합니다. 마치 자산을 불리는 데 '이자'가 '이자'를 낳는' 방식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반대로 단기는 원금에 대해서만 일정한 이율로 이자가 계산되는 방식입니다. 아무리 시간이 흘러도 처음 원금에 대한 이자만 받을 수 있습니다. 장기적인 투자에서 복리의 힘은 마법과 같다고 표현될 정도로 매우 강력합니다. 시간이 지날수록 이자에 이자가 붙어 자산 증가 속도가 기하급수적으로 빨라집니다. 처음에는 복리 효과가 미미하게 느껴질 수 있지만, 투자 기간이 길어질수록 단리와의 차이는 엄청나게 벌어집니다. 복리는 발생한 이자를 다시 투자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냅니다. 이렇게 재투자된 이자는 또 다른 수익을 낳으면서 자산을 더욱 빠르게 불려줍니다.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
복리는 이자에 원금을 더한 금액에 이자를 주는 방식이고 단리는 이자의 원금은 항상 같고 일정한 이자 금액만 계산되는 방식입니다. 시간이 지나면 지날 수록 복리의 힘은 막강합니다.
안녕하세요. 전영균 경제전문가입니다.
간단히 숫자로 설명드리겠습니다.
1억 단리 10% 10년 저금을 하면 원금 1억에 이자 1억 총 2억이 됩니다.
그러나 복리로 하면
1년 : 1억 + 천만원
2년 : 1억 천만원 + 천백만원
....
이런식으로 이자가 원금에 합산되어 버리고 기간에 따라 기하급수적으로 원금이 늘어나기 때문에 복리가 장기적으로 유리하다라고 말하는 것이랍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먼저, 복리란 이자 계산 방법 중 하나로, 금융 거래에서 이자가 발생한 후에도 발생한 이자가 원금에 더해져 다음 이자 계산에 영향을 주는 방식인데요. 원금과 누적된 이자가 함께 증가하게 되어 시간이 지남 에 따라 금액이 더욱 빠르게 증가하는 효과를 가져옵니다. 투자에서 복리가 활용되면 유리한 이유는 복리 계산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이전에 발생한 이자도 원금에 포함되어 더 많은 이자가 발생하게 되므로, 금액이 더욱 빠르게 증가하는 특징 덕분입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복리는 이자부분까지 이자가 계상되는 개념입니다 단리는 초기 원금에만 적용되는 구조입니다
즉 이말은 금리가 높을 수록 이자가 많이 계상됩니다 이로인해서 다음연도부터 해당이자까지 이자가 적용되는구조입니다
예를들어 매년 5프로연이율 복리상품이 있다면 100이 105가 되고 다음연도엔 105에서 5프로가적용되어 110.25가 됩니다 다음연도엔 5프로가 115.7625로 단리시보다 자산이 크게 증가되는 구조이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이를 배당주에 적용시 배당을 재투자시에 복리로 크게 자산이늘어나기 때문에 10년이상 장기투자시에 자산증식이 크게 증가되고 현금흐름이 크게 증가되는 구조입니다
안녕하세요. 김강일 경제전문가입니다.
자산 증식에 있어 단리와 복리는 매우 중요한 개념이며, 특히 장기적인 관점에서는 복리의 효과가 압도적입니다.
단리는 투자 원금에 대해서만 이자가 발생하는 방식입니다. 예를 들어, 1,000만 원을 연 5% 단리로 10년간 투자했을 때, 매년 50만 원의 이자가 발생하여 10년 후 총 500만 원의 이자를 얻게 됩니다. 따라서 최종적으로 1,500만 원을 수령하게 됩니다.
반면, 복리는 원금뿐만 아니라 이미 발생한 이자에도 이자가 더해지는 방식입니다. 동일한 조건으로 1,000만 원을 연 5% 복리로 투자하면, 1년 뒤에는 1,050만 원, 2년 뒤에는 이 1,050만 원에 대한 이자가 붙어 1,102.5만 원이 됩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10년 후에는 약 1,629만 원으로 불어나 단리보다 더 큰 금액을 얻을 수 있습니다. 시간이 지날수록 이자가 눈덩이처럼 불어나는 복리 효과는 장기 투자에서 그 위력을 발휘합니다.
장기 투자 시 복리의 힘은 더욱 두드러집니다. 예를 들어, 1,000만 원을 연 8% 복리로 30년간 투자하면 약 1억 600만 원이라는 큰 금액이 됩니다. 같은 조건으로 단리 투자를 했다면 약 3,400만 원에 불과하여 복리 투자 대비 3배 이상의 차이를 보이게 됩니다.
투자기간이 짧을 때는 복리 효과가 미미하게 느껴질 수 있지만, 10년, 20년, 30년과 같이 기간이 길어질수록 자산 증가 속도는 기하급수적으로 빨라집니다. 연 10% 수익률로 30년간 투자했을 때, 단리로는 원금의 4배인 4,000만 원이 되지만, 복리로는 약 1억 7,449만 원으로 17배 이상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정기적으로 일정 금액을 투자하는 적립식 투자에서도 복리 효과는 마찬가지로 강력한 힘을 발휘합니다. 매월 50만 원씩 연 8% 복리로 30년간 적립하면 약 7억 9000만 원이라는 상당한 금액을 모을 수 있습니다.
복리 투자의 핵심은 '시간'입니다. 이자가 이자를 낳는 복리 구조상, 투자 기간이 길수록 자산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납니다. 따라서 투자를 최대한 빨리 시작하는 것이 유리하며, 장기 투자는 복리 효과를 극대화하는 가장 확실한 방법입니다.
결론적으로, 복리는 시간이 지날수록 그 효과가 커지는 마법과 같습니다. 장기적인 자산 증식을 목표로 한다면 복리 투자를 꾸준히 실천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전략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