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집값이 떨어진다는 얘기가 있던데
올해 들어서 서울 집값이 떨어진다는 말이 있던데
며칠 전에 서울 소형아파트를 매매계약 했습니다.
아무래도 시기를 잘못 고른 걸까요?
안녕하세요. 김희영 공인중개사입니다.
올해들어서 서울의 일부지역에서 아파트 가격이 하락세를 보이고 있습니다만 거의 보합에 가까운 수준이었습니다. 최근 강남3구와 용산구에 대한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와 정부의 그린벨트 해제 계획 공표 등으로 정부에서 부동산 시장 활성화 계획을 보이고 있는데, 향후에 금리가 더 하락하고 경제 상황이 개선된다면 집값이 우상향으로 반전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현재도 주택 공급부족과 집값 인상에 대한 기대심리, PF대출 부담으로 인한 건설사들의 분양가 인상 등으로 올해 하반기에는 집값이 상승할 것으로 많은 전문가들이 예측하고 있습니다만 상승은 제한적일 것으로 보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는 금리, 환율, 경제상황의 변화 그리고 정부의 부동산 정책 등에 따라서 상황은 달라질 수도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2024년부터 대출한도규제를 하고부터 상급지 외에는 거래가 안되고 조금씩 떨어졌던 부분이 있습니다
그런데 최근에 강남 3구에 재건축을 제외한 아파트들의 토지거래허가구역을 해제해서 그곳들은 가격이 많이 오르고 있습니다
매물을 거둬들이고 있어서 거래가 쉽지 않습니다
또 금리를 조금내려서 다른 지역도 오를수 있습니다
어차피 서울은 땅면적이 좁아서 시간이 갈수록 오를수밖에 없는 구조입니다
계약을 하셨다니 어떻게 변할지 더지켜봐야 할거 같습니다
올해 들어서 서울 집값이 떨어진다는 말이 있던데
며칠 전에 서울 소형아파트를 매매계약 했습니다.
아무래도 시기를 잘못 고른 걸까요?
==>현재 서울 시내 집가격은 많이 떨어져 있는 상태이고 탄핵정국이 마무리되는 후반기부터는 집값이 상승세로 전환될 가능성이 높은 만큼 구입을 잘 하였다고 할 수 있습니다. 선견지명이 있으신 것으로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답변드리겠습니다.
서울의 집값이 상승할지 하락할지 그 누구도 알 수 없습니다.
다만 직전 상승에 대한 피로감과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가격에 대한 부담감으로 추가적인 상승은 어려울 것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서울은 우리나라에서 최고의 인프라를 가지고 있고 지방에서 서울로 인구 쏠림 현상이 나타나고 있기 때문에 장기적인 관점에서 우상향할 것으로 예상합니다.
현재 2025년은 보합 내지 하락할 것으로 보이나 장기적으로 보면 상승할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