균형국민소득의 의미가 도대체 뭘까요?
균형이란 게 만나는 점이라는 걸 암기만 했지 그 의미를 모르겠습니다. 또 왜 y=x인 곡선과 만나야 균형인지 꼭 y=x여야 하는지 헷갈려요.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균형국민소득의 의미에 대한 내용입니다.
균형국민소득이란 국민소득이 다양한 경제 주체들 간에 고르게
분배되어 있을 때 나타나는 국민소득의 상태를 의미합니다.
이는 소득의 불평등을 최소화하고, 사회적, 경제적 균형을 갖추는 것에
중점을 두는 개념입니다.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저축(S)과 투자(I )가 균등한 조건을 충족시키는 국민소득으로 이것은 유효수요(有效需要)의 점에 대응하는 국민소득으로서 사회적 총공급(C+S )과 사회적 총수요(C+I )가 일치되는 점, 즉 유효수요의 점에서 결정된 국민소득을 말합니다.
균형국민소득이란 경제 내에서 총수요(지출)와 총공급(소득)이 일치하는 수준의 소득을 말합니다.
즉, 경제의 생산량(소득)과 그 생산물에 대한 지출이 같을 때 균형이 이루어집니다.
이 균형이란 생산된 재화가 모두 소비되고, 남거나 부족한 것이 없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이때 사용하는 y=x라는 그래프는 소득(y)과 지출(x)이 같은 점을 나타냅니다.
이 선은 모든 소득이 소비나 투자를 통해 지출된다는 가정을 반영한 것으로, 소득(y)이 지출(x)과 같을 때만 경제가 균형을 이루게 됩니다.
따라서 y=x 선은 일종의 기준선으로 총수요와 총생산이 일치하는 점을 찾기 위해 사용됩니다.
그래서 균형은 y=x 선과 다른 경제 지표(총수요 곡선 등)가 만나는 지점에서 나타나며 그 지점이 바로 균형국민소득을 의미합니다.
균형국민소득은 경제학에서 중요한 개념으로, 총수요와 총공급이 일치하는 수준에서 결정되는 국민소득을 의미합니다. 경제가 균형 상태에 있을 때, 소비, 투자, 정부 지출, 순수출 등의 총수요와 노동, 자본 등의 총공급이 서로 일치하여 경제가 안정적으로 성장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