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의 경제 정책의 위험성에 대한 질문
저는 먼저 벌리의 이론에 따른 상법개정을 찬성하고 현재의 부동산 억제 정책이 그 어느 정부보다 견고하고 강하다는 것을 알고 있으나 굉장히 우려스럽습니다.
현재 세계적으로 고금리 상황에서도 AI의 발전과 양자컴퓨터에 대한 기대에 기인한 주가 호황과 비트코인 등의 호황으로 인한 자산시장이 엄청 활기를 띄고 있더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이에 더불어 현재 정부 정책이 가계부채 감소와 부동산 가격 억제를 위해 강력한 부동산 수요 억제 정책과 주가 우선 정책을 동시에 적극적으로 펼쳐내어 성공시키려는 목적이 잘 나타납니다
다만 굉장히 우려스러운 부분이 세계적인 증시 호황이 AI에 굉장히 의존하고 있다는 측면 뿐만 아니라 정작 ChatHPT를 제작한 AI기업도 지속적인 적자를 겪고 있더는 점, 현재 그 산업을 주도하고 있는 미국의 나스닥의 평균 PER 지수가 30을 넘을 정도로 지나치게 호황이라는 점, 워렌버핏 조차 현금 비중을 늘리고 있다는 점, 금리가 높다는 점, 비트코인 가격도 최고점을 수시로 찍는 다는 점을 참작하면 현재의 자산시장이 과거 닷컴버블 당시와 굉장히 비슷하면서도 더 심각하다는 생각이 자주 듭니다.
현재의 세계적인 증시 분위기가 지속된다면 부동산 억제 정책과 증시 부양 정책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할 것으로 보이지만, 만에 하나 닷컴버블처럼 자산시장 붕괴가 발생할 시에는 위 정책을 유지시에 금융위기, 대출 규제만을 풀 경우에는 부동산 가격 폭등의 문제가 발생할 것으로 보여 굉장히 우려스럽습니다.
상법 개정 이후 근래의 우리나라 증시도 경제 침체 상황인데도 불구하고 하이닉스와 삼성과 같은 Ai반도체 기업들 주축으로 상승하고 있다는 점도 굉장히 우려스러운 점입니다.
축적된 외환 보유고 덕에 외환위기와 같은 일은 발생하지 않겠으나 부동산 기업들의 도산, 부동산 투자 비중이 높은 금융권과 기업들의 도산 위기와 대침체 혹은 역성장 등이 우려됩니다.
경제전문가 분들은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현재 정부의 정책에 대한 내용입니다.
일단 한국은 지나치게 많은 부가 부동산에 축척되어 있고
이 중 일부라도 주식 시장으로 옮기고자 하는 것이기에
그런 우려하시는 일들은 일어나지 않고
되려 아무것도 하지 않으면 우려하시는 일들이 일어날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20c말의 외환위기로 인한 imf 등이 발생할 가능성은 낮다고 볼수 있습니다. 다만 인공지능과 관련하여 다양한 일자리의 감소는 개별 인구들이 겪는 고민거리라고 생각합니다. 다만 이러한 인공지능을 등한시 하고 배척할경우에 발생할수 있는 문제점은 너무 넓고 다양하기에 이러한것을 부딪히며 새로운 일자리나 경제정책을 마들수 밖에 없습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상법개정을 찬성하고 현재의 부동산 억제 정책이 그 어느 정부보다 견고하고 강하다는 것을 알고 있지만 굉장히 우려스럽습니다. 현재 정부 정책이 가계부채 감소와 부동산 가격 억제를 위해 강력한 부동산 수요 억제 정책과 주가 우선 정책을 동시에 적극적으로 펼쳐내어 성공시키려는 목적은 이해되지만 세계적인 증시 호황이 AI에 굉장히 의존하고 있다는 측면 뿐만 아니라 정작 ChatHPT를 제작한 AI기업도 지속적인 적자를 겪고 있더는 점, 현재 그 산업을 주도하고 있는 미국의 나스닥의 평균 PER 지수가 30을 넘을 정도로 지나치게 호황이라는 점, 워렌버핏 조차 현금 비중을 늘리고 있다는 점, 금리가 높다는 점, 비트코인 가격도 최고점을 수시로 찍는 다는 점을 고려하면 현재의 자산시장이 과거 닷컴버블 당시와 굉장히 비슷하면서도 더 심각하다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현재의 세계적인 증시 분위기가 지속된다면 부동산 억제 정책과 증시 부양 정책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할 것으로 보이지만, 만에 하나 닷컴버블처럼 자산시장 붕괴가 발생할 시에는 금융위기, 대출 규제만을 풀 경우 부동산 가격 폭등의 문제가 발생할 것으로 보여 굉장히 우려스럽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