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 기능사를 따고 얼마나 지나야 전기기사 시험 볼수 있나요?
전기 기능사는 쉽게 누구나 딸수 있다고 하는데
전기기사는 경력이 있거나 하는데
기능사 따고도 얼마나 있어서 전기기사 시험을 볼수 있는 자격을 주나요?
기사는 기능사 취득후 실무경력 3년 후면 취득할 수 있는 자격이 주어집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기사보다 실습이 있는 기능사 시험이 더 어려울수 있으니 참고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전기기사 취득 후 현업에서 일하고 있는 4년차 전기 엔지니어 입니다.
전기기사를 취득하기 위해서는 전기 기능사 자격증을 소지한 후, 관련 업무에 1년의 실무 경력이 필요합니다. 전기 기능사는 기본기를 쌓기에 좋은 첫걸음이 될 수 있는 자격증입니다. 기능사 시험은 비교적 합격률이 높기 때문에 접근성이 좋다고 할 수 있지만, 전기기사 자격증을 목표로 하고 계신다면 기능사 단계에서부터 탄탄한 기초를 다지는 것이 중요합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전기기사 응시자격은 아래와 같습니다.
산업기사 + 실무 1년이상
실무경력 4년 이상
관련학과 4년제 졸업(에정)자
학점은행제 106학점 이상 취득자
전기기능사 취득후 전기기사을 취득하려면 응시자격 조건을 갖추어야 해요.
전공학과나 연계학과가 아닐경우
전기기능사 먼저 취득하고 실무경력이 있어야 해요.
전기기능사 + 실무경력 1년 = 전기산업기사
전기기능사 + 실무경력 3년 = 전기기사
도움되었으면 해요.
일반적으로 기능사 자격취득후는
동종의 경력 3년이상의 실무경력을 요합니다
기능사자격없이는 4년이상의
실무경력을 요합니다
안녕하세요. 전기기사 자격증 보유자입니다. 일단 기능사 자격증 취득을 축하드립니다. 기능사 자격증을 합격한 기준으로 1년이상 전기설비 관련 종사를 하셔야 응시자격이 주어집니다.
전기기능사 같은경우는
기능사+실무경력 3년
무자격증 실무경력 4년
입니다.
건물내 전기선임 걸기 위해서는 전기기사 꼭 따시기 바랍니다.
전기기능사로 1년 경력이 있으면 전기산업기사, 전기기능사로 3년이상 실무 경력이 있으면 전기기사를 시험볼수가 있습니다. 1년 경력 쌓으면서 산업기사부터 해봐도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