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경동맥협착(I65.2) 진단비 보험금 수령을 위해 손해사정사 도움을 받고싶습니다. 가능할까요?
안녕하세요. 답답한 마음에 문자문의드립니다.
회사단체보험으로 현대해상(주관사), KB, DB손해보험, 메리츠 이렇게 수년간 단체보험이 들어있습니다.
21년 건강검진시 뇌혈관쪽 3차병원 방문을 안내해
21년 11/24 최초 강남카톨릭성모병원 방문 및 초진
21년 12/06 CT촬영
21년 12/21 내경동맥 협착 소견을 의사로부터 받고
24년 6/05 CT두번째 촬영 (진행경과 확인)
24년 6/12 내경동맥 협착(I65.2) 진단서를 받았습니다.
(21년 12/21 이후 현재까지 계속 약물 치료는 받고 있습니다)
진단서에는 최종진단이 아닌 임상적추정으로 되어있어
내일(6/26) 주치의를 다시 방문해 최종진단으로 진단서 수정요청드리려 하는데,
이것이 의미가 없을까요?
(아직 보험청구서류를 보험사에 보내지는 않았습니다)
회사단체보험이라 진단명이 최종진단으로 나오면 보험금 수령이 유리하다는 보험사 심사원으로 부터 얘기를 들었습니다.
진단금이 4개 보험사 합하여 3천만원 되는 큰 금액이라 잘 준비해서 보험금을 수령하고 싶은데,
1. 내일 주치의를 만나 최종진단 요청이 의미가 있나요?
2. 보험청구서류 제출전 손해사정사님 도움을 받고 싶은데, 상담을 받고 진행을 어떻게 해야 할까요?
(관심있는 손해사정사 분들의 답변 부탁드립니다)
3. 진단서에 발생연월 : 미상 으로 되어있는데, 이건 문제가 되지 않나요?
안녕하세요. 이재진 보험전문가입니다.
네, 의미가 있습니다.
보험사에서 무조건 부지급걸리는 말이 몇가지 있는데
추정, 상세불명, 원인불명 이런말이 들어가면 확정적 진단이 아니기 때문에
보험사에서도 지급을 하지 않습니다.
의학적 소견상 문제가 없고 확정적인 진단만 받으신다고 하시면
청구하시는데는 문제가 없습니다.
기존에 임상적 추정으로 청구했던걸로 꼬투리를 잡지도 않고요
저희 지점을 전적으로 담당해주시는 손해사정사분과 연결해드리겠습니다.
협착, 즉 혈관이 좁아진 상태를 뜻하는 질환이기 때문에
언제부터 얼만큼 좁아졌는지는 파악할 수가 없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진단금 청구는 진단일자가 중요한것이니 신경쓰지 않으셔도 괜찮습니다.
경동맥 협착으로 인한 뇌졸증 진단비에 대해서는 주치의의 확정 진단도 있어야 하지만 혈류 검사와 신경학적 증상 유무, 협착률 등 의무 기록에 대한 검토가 필요합니다.
한 병원에서 진료를 계속해서 받은 경우 의무기록 사본을 발급받아서 검토해 보아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선희 보험전문가입니다.
임상적추정 보다 최종진단이 유리하며 진단서와 CT,MRI 등 방사선 판독결과지도 제출해야 합니다.발생연월 미상은 문제되지 않습니다.
안녕하세요. 장옥춘 손해사정사입니다.
1. 내일 주치의를 만나 최종진단 요청이 의미가 있나요?
: 우선 보험금 청구를 위해서는 최종 진단이 필요합니다. 임상적 추정은 말그대로 추정으로 이는 보험약관상 내경동맥협착에 대하여 진단을 받았다 할 수 없기 때문에 최종진단을 받아야 하는 것은 의미 문제가 아니고, 보험금 청구 자체의 문제가 됩니다.
2. 보험청구서류 제출전 손해사정사님 도움을 받고 싶은데, 상담을 받고 진행을 어떻게 해야 할까요?
: 보험금청구전 부터 하나하나 준비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3. 진단서에 발생연월 : 미상 으로 되어있는데, 이건 문제가 되지 않나요?
: 일단은 단체보험이기 때문에 매년 가입을 하셨을 것으로 이는 해결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