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4.28

아이가 화를 주체하지 못할 때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정말 어려운거 같습니다. 아이가 화를 주체하지 못할 때는 어떻게 해야할까요? 기다려줘야하나 아니면 훈계를 해야하나 고민입니다. 어떻게 해야 애가 상처를 안받고 참는법을 배울수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이중원 초등학교 교사blue-check
    이중원 초등학교 교사23.04.28

    안녕하세요. 이중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화를 주체하지 못할 때 부모님을 절대 같이 화를 내거나 흥분하시면 안됩니다. 차분하고 단호하며 일관된 태도로 너가 멈추고 진정할 때까지 기다릴꺼야 라고 말한 뒤 한 걸음 물러나서 기다려 줍니다. 무시하거나 방치하시지 마세요. 아이를 바라고 있되 개입이나 아무 말도 하지 말고 기다려 주세요. 한시간이 될 수도 있고 두시간이 될 수 도 있지만 끈기를 가지고 아이기 화를 누그러뜨리고 대화할 준비가 될 때까지 기다려 주세요. 아이의 화가 진정이 되고 나면 그 때 차분하고 단호하게 설명하셔야 합니다. 화를 낸다고 달라지는 것은 없으며 화가 났을 때는 말로 이야기 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임을 설명해 줍니다. 그리고 아이의 화나는 행동으로 인해 가족들이 느끼는 기분을 말해 줍니다. 앞으로 이런 행동을 반복하지 않기로 약속합니다. 그리고 자신의 화나는 기분을 말로 표현했을 때 많이 칭찬해 줍니다. 이런 패턴을 여러번 반복하면서 서서히 화를 주체하지 못하는 행동들을 줄여 나가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승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화를 주체하지 못할 때 어떻게 대체해야 하는지가 궁금하군요.

    아이들은 화가 났을 때 표현하는게 서투를 수 밖에 없는 것 같습니다.

    아이의 그런 모습을 볼 때면 부모 또한 감정을 주체하지 못하고 화를 내버리고 말 때가 있습니다.

    그렇게 하고 나면 부모의 마음도 편치 못하죠.

    아이를 훈육할 때는 소리를 지르기보다는 친근한 어투로 말해야 합니다. 쉽지 않지만 평정심을 유지하는게 중요합니다.

    가정 우선적으로 해야 할 것은 아이의 마음을 읽어주고 공감해주는 것입니다.

    그런 다음 관찰한 사실을 말해주고 양육자의 감정을 전달합니다.

    마지막으로 '앞으로는 화가 나더라도 ㅁㅁ행동은 하지 않았으면 좋겠어. 기분을 말로 표현했으면 좋겠어'라고 부탁을 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송신애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먼저 화가 난 아이의 마음을 공감해주면서 자신을 컨트롤 할 수 있도록 도와주시기 바랍니다.어른들은 심호흡을 하거나 그 자리를 잠시 피하거나 해서 스스로 진정을 하지만 아이들은 아직 감정조절하는 것에 서투릅니다.그래서 부모님께서 아이의 감정을 공감하면서 진정되도록 도와주시고 속상한 부분을 들어주시기바랍니다.아이도 화가 났을 때 자신의 속상한 마음을 대화로 푸는 연습을 통해 자신의 화를 다스릴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해주시기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이복음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들은 아직 스스로 감정을 조절하는 것을 어려워하기 때문에 화가 났다면 잠시 그 공간에서 벗어나 심호흡을 크게 쉰 후에 이야기를 할 수 있도록 격려하고 화가 난 감정을 언어로 표현해볼 수 있도록 지도해주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스스로 조절을 하지 못하는 아이들 같은 경우엔 화를 주체하지 못할 때가 많답니다.

    아이가 화가 났는데 그 자리에서 훈육을 하면 아이가 수긍을 하는 게 아니라 화를 더 주체하지 못할 수 있으니

    어느 정도 화가 가라앉았을 때 훈육을 차분하게 하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의 연령이 어떻게 될까요?

    아이 스스로 충분히 화를 주체할 수 있는 연령인데도 계속해서 화를 낸다면 반응을 보이지 않는 것도 중요합니다.

    하지만 어린 영아들 같은 경우엔 의사표현이 언어로 되지 않기 때문에 화를 내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럴 땐

    아이의 마음을 대신 읽어 주는 게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성문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화를 주체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아이에가 화를 삭힐 시간을 주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마음속으로 5초정도를 헤아려보고

    그사이에 화를 삭힐 시간을 주시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감정적으로 조절이 안될때는 기다려주는것이 좋겠습니다.

    아이가 감정을 스스로 진정하도록 스스로 연습해주는 과정을 가져주는것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잘생긴지어새218입니다.

    아이가 화를 표현할 때는 진정될 때까지 기다려주어야 합니다.

    그리고 진정이 되면 아이의 감정을 인정하고 공감해주세요. 지금 어떤 이유 때문에 화가 났구나. 속상했구나 이렇게 부정적인 감정도 인정하고 공감해주세요 그런 다음에 부정적인 감정을 건강한 방법으로 표현하는 방법을 알려주세요. 아이들은 표현하는 능력이 미숙합니다. 이것은 부모로부터 배워야 되는 것입니다. 부모부터 자기의 감정을 긍정적으로 표현하고 그 방법을 아이에게 꾸준히 설명해주면 아이가 화는 내는 방법도 많이 좋아질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화를 주체하지 못하다고 한다면

    우선은 아이가 화를 가라앉힐 시간을 충분히 주시는 것이 먼저 입니다.

    그리고 아이의 화가 가라앉히면 그때 대화를 시도해 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제일 먼저 화가 난 아이의 마음을 아이의 입장이 되어서 생각해 보시고 아이의 감정에 이입이 되셔서 아이의 감정을 이해해 해주신 후에 부모님의 생각을 전달해 주도록 하세요,


  •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화가 많은 아이를 대처하는 방법 중 무시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입니다. 무시하고 기다리면 아이는 한풀 꺽이는 시점이 오게 됩니다.

    이때 대화를 시도합니다. 아이의 특성을 이해하는 마인드가 필요합니다.

    아이의 마음을 이해하려 노력하시고 아이에게 화를 내지 않아도 마음을 표현할 수

    있음을 말해주세요.


  • 안녕하세요. 조현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지나치게 흥분하고 화를 가라앉히지 못하는 경우에는 자리를 잠시 이탈하여 아이를 가볍게 안아주세요.

    포옹을 통한 따뜻한 체온과 심장박동소리가 진정되는데 도움이 됩니다 .

    흥분한 아이를 혼을 내거나 큰소리내게되면 오히려 역효과를 불러일으킬 수 있습니다.

    흥분한 이유에 대한 공감을 바탕으로 대화 시도하시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