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철학 이미지
철학학문
철학 이미지
철학학문
비둘기
비둘기23.02.26

퇴계이황의 이기호발론과 율곡 이이의 기발이승론은 모두 성리학에 기초한 주장들인데 어떤점이 차이가 있는 이론들인가요?

질문 그대로 궁금하여 질문드립니다


퇴계이황의 이기호발론과 율곡 이이의 기발이승론은 모두 성리학에 기초한 주장들인데 어떤점이 차이가 있는 이론들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황정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퇴계이황의 이기호발론은 자연을 이해하고 설명하는 데 있어서 이기(理氣)와 호발(和發)이라는 두 가지 요소를 중심으로 놓았습니다. 이기는 모든 것의 본질적인 원리를 나타내는 원리, 호발은 이기가 구체적인 현상으로 나타나는 것입니다. 이러한 이기호발론은 자연과 인간의 관계, 그리고 이에 따른 정치 체제 등에 대한 이론을 발전시키는 데 큰 역할을 하였습니다.

    반면에 율곡 이이의 기발이승론은 이승(理性)과 기발(奇跡)이라는 두 가지 요소를 중심으로 놓았습니다. 이승은 모든 인간이 가지고 있는 이성적인 원리를 나타내는 것으로, 기발은 이성적인 원리와는 별개로 존재하는 예술적인 요소로 해석되기도 합니다. 이승과 기발을 바탕으로 율곡 이이는 예술과 철학, 그리고 종교에 대한 이론을 제시하였습니다.

    즉, 이기호발론은 자연과 인간의 관계에 대한 이론을 발전시키는 데 중점을 두었으며, 기발이승론은 인간의 이성과 예술, 철학, 종교 등 다양한 분야에 대한 이론을 제시한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이기호발설은 사단과 칠정을 각각 이의 발현과 기의 발현으로 구분하는 이황의 주리론적 학설로 어떤 존재를 구성하는 요소인 기와 그 존재를 그 존재이기에 하는 원리로서의 이는 하나이면서 둘이요, 둘이면서 하나 라는 불상리, 불상잡의 관계에 있습니다.

    기발이승론은 이와 기는 서로 떨어질수 없어 흡사 일물과 같아 그 발용은 하나뿐이며 호발은 있을수 없다고 하는 기본 전제 아래 이는 최고의 존재 원리이기는 하나 형체도 없고 스스로 운동, 변화하지 못하며 형체도 있고 스스로 작용할수있는 기만 발한다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유정민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이황과 이이의 두 이론 모두 사단칠정에 대한 견해 차이때문에 시작된 것입니다. 인간의 착하고 선한 감정=사단, 사단은 이가 발현해서 나타나는 것이고 칠정은 기가 발현해서 나타나는 것으로 이황은 생각해서 이와기가 동시에 발현된다고 이기호발론이라 합니다. 이이는

    사단과 칠정 모두 기가 발현해서 나타나는 것으로 봅니다. 이가 최고의 존재원리이긴 하지만 형체도 없고 스스로 운동하지도 못하기 때문에 형체도 있고 스스로 운동할 수 있는 기만 발현된다고 보는 것이 이이의 기발이승론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퇴계이황(退溪李滉, 1337년 ~ 1408년)과 율곡 이이(李瀷, 1536년 ~ 1584년)는 모두 성리학(성리사상)의 대표적인 인물로 국내철학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 두 인물의 성리학 관련 이론에서 차이점이 존재합니다.

    먼저, 퇴계이황의 이기호발론은 이치(理致)와 기(氣)가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는 관점에서 시작합니다. 그는 성리학의 근본 원리인 이치와 기가 중요한데, 이를 바탕으로 하여 이치와 기의 불균형이 발생하면 인간의 정신과 육체적 기능에 문제가 생긴다고 주장합니다.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는 사물의 기를 따르고 이치를 실현시키는 것이라는 것입니다.

    반면에 율곡 이이의 기발이승론은 퇴계이황의 이기호발론과는 차이가 있습니다. 율곡 이이는 이치와 기를 하나의 존재로 보고,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것은 그것의 변화와 운동으로 이루어져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는 이러한 변화와 운동의 원리를 "기(氣)의 원리"라고 불렀습니다. 이에 대해 율곡 이이는 이치와 기를 통합하여 "이기(理氣)"라는 개념으로 설명하며, 인간이 세상을 이해하는 기본적인 방식은 이기(理氣)를 통해 이루어진다고 주장합니다.

    이처럼 퇴계이황과 율곡 이이는 성리학이라는 공통된 이론을 바탕으로 하지만, 그들의 이치와 기에 대한 이해와 설명 방식, 그리고 세계관의 차이 등에서 차이가 존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퇴계이황과 율곡 이이는 모두 성리학을 기반으로 하면서도 서로 다른 이론을 제시했습니다.

    퇴계이황의 이기호발론은 기본적으로 이기와 호를 중시하는 성리학의 대표적인 이론입니다. 이기(理氣)는 세상의 모든 사물을 이루는 원리이며, 호(和)는 이기가 균형을 이루어 조화롭게 작용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기와 호의 균형은 모든 것이 성립되고, 이 균형이 깨지면 모든 것이 망할 수 있다는 것을 강조합니다. 이에 따라 인간의 행위도 이기와 호의 균형을 맞추어야 한다는 것이 퇴계이황의 주장입니다.

    반면에 율곡 이이의 기발이승론은 이기와 호보다 기(氣)와 발(體)를 중시하는 이론입니다. 기는 사물의 기운이며 발은 사물의 형태를 의미합니다. 율곡 이이는 사물의 형태는 사물의 기운으로부터 비롯되기 때문에 기운을 중시하며, 기운이 균형을 이루어야 발(형태)이 완성된다는 것을 강조합니다. 이에 따라 인간의 행위도 기운의 균형을 맞추어야 한다는 것이 율곡 이이의 주장입니다.

    이러한 차이로 인해 퇴계이황의 이기호발론은 이념적이고 추상적인 면이 강하며, 세속적인 문제에 대한 대처 방식은 제시하지 않습니다. 반면에 율곡 이이의 기발이승론은 실생활에서의 문제 해결 방식까지 제시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또한, 퇴계이황은 성리학에 대한 철학적인 사유를 중시하고, 율곡 이이는 성리학을 실생활에서 적용하는 방법을 중시하는 차이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