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비뇨의학과 이미지
비뇨의학과의료상담
비뇨의학과 이미지
비뇨의학과의료상담
박일규
박일규22.08.17

크레아티닌 1.29 라는 수치

나이
32
성별
남성
복용중인 약
혈압약 불안장애약
기저질환
고혈압 고혈압성신경화

안녕하세요. 저는 고혈압약을 먹다 스스로 복용을 2년8개월 중단하는 바람에 신장이 안 좋아졌습니다. 단백뇨는 초진시 2+ 혈뇨는 음성 이었으며 최근검사결과 단백뇨 혈뇨 모두 음성이 나왔습니다. 그런대 6개월전 크레아티닌 수치가 1.12였는대 1.29로 수치가 상승하였습니다. 신장이 망사지고 있다는 증표인가요? 심장내과 선생님은 지금 당장은 문제없다고 말슴 하시고 신장내과 선생님은 이제 안와도 된다고 하시는대 인터넷 카페 같은 곳에서 글을 읽어보면 상당히 심각한 문제 인 것 같습니다. 크레아티닌수치가 상승하기 시작했다면 신장세포가 절반 이상 망가진거라고 알고 있습니다. 예전 피검사 결과지를 보니 크레아티닌 수치 0.9~1.0대가 주로 나왔습니다. 근육량은 적고 키175 체중 90키로입니다. 또 다시 혈압약 먹기 시작한 1년전에 시스타틴c 1.3이라는 수치가 나왔습니다. 시스타틴 수치가 비교적 정확하다고 들었습니다. 1.05 정상에 1.3이면 정상치를 한참 초과했다는 의미인가요?? 지금 혈압은 매우 정상입니다. 고혈압으로 인해 신장에 문제가 생긴 사람은 투석까지 보통 얼마나 가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서민석 의사입니다.

    예전보다 신장 기능이 더 나빠진 것은 맞지만 그렇다고 걱정할 정도로 심각한 수준은 아닙니다. 앞으로의 관리가 중요하다고 보입니다. 혈압약은 꾸준히 드셔야하고 체중도 줄여야 합니다. 혈압 조절만 잘 하면 신기능 저하가 더 심해지지 않고 투석의 가능성은 떨어집니다. 너무 걱정하지 마시고 혈압약을 드시면서 주기적으로 검사만 하셔도 충분할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병관 의사입니다.

    현재 나이에 비해서 크레아티닌 수치는 높은 편입니다. 그러므로 앞으로 약물 사용등에 있어서 주의하시고 추적관찰을 잘 받을 경우 해당 수치는 잘 유지될 가능성이 있으니 관리에 신경을 쓰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코로나 카테고리에서 활동중인 전문의입니다.

    크레아티닌 수치가 상승중이라고 해서 신장 세포가 절반이상 망가졌다고 하는 이야기는 사실이 아닙니다.

    한가지 수치만으로는 임상적으로 활용하지 않으며 다른 검사 결과 수치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신장의 상태를 평가합니다.

    현재 수치만을 가지고 투석까지의 기간을 예상하기는 어렵습니다.

    참조하시어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 크레아티닌 수치가 1.12에서 1.29로 상승을 하였다면 수치가 악화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해당 수치는 몸의 체액량 등 상태에 따라서 다소 왔다갔다 할 수 있기 때문에 0.1-0.2 정도 차이가 나는 것에 너무 큰 의미를 둘 필요는 없습니다. 또한 정상 범위보다 다소 높기는 하나 심각하게 수치가 높은 것 또한 아닙니다. 최대한 건강 관리를 잘 하면서 잘 추적관찰 하시길 권고드립니다. 만약 혈압 조절이 되지 않아 신장이 망가지는 문제가 생겨서 투석을 시작하게 되면 신장 이식을 받지 않는 이상 평생 하여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