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갸름한호랑이84
갸름한호랑이8424.04.06

옛날 조상들의 실제 말투는 어땠나요?

사극을 보거나 고전문학을 읽으면

옛 사람들의 말투는 "~했소" "했단 말이오"

"~~이시여" 이런 말투가 대부분입니다.

그런데 이 말투가 실제로도 사용이 된 건가요?

옛 기록에는 한자로 남겨진게 대부분인데

어떻게 이 말투를 유추해서 지금 '옛날 말투' 라고 사용이 되고 있는 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황정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사극과 고전문학에서 사용되는 '옛날 말투'는 단순히 픽션이고 사실 옛 기록은 대부분 한자로 작성되었습니다. 한자는 한국어의 소리를 정확하게 표기할 수 없기 때문에, 옛날 사람들이 실제로 사용했던 말투를 완벽하게 재현하기는 어렵습니다


  • 안녕하세요. 윤지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현재 우리나라 사극에서는 옛사람들의 말투를 고증 없이 작가나 연출자가 임의로 창작해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하오체가 대표적인 예전 한국어의 존비어 체계의 한 층위로서 전면적으로 쓰이기 시작한 것은 의외로 오래지 않아 조선 중말기부터 라고 합니다. 훈민정음 창제기로 대표되는 조선 전기의 'ᄒᆞ쇼셔/ᄒᆞ야쎠/ᄒᆞ라' 대립 시대에는 하오체가 나타나지 않았다고 합니다. 이러한 예전 말투는 구한말과 일제 강점기 그리고 6 25저쟁 직후까지 쓰였으나 시간이 흐르면서 잘 쓰이지 않게 되었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