을사조약이 맺어지자 바로 '을사의병'을 왜 만든 이유가 먼가요?
일본은 대한제국의 외교권을 빼앗기 위해 을사조약을 맺어지자
많은 사람들이 일본에 맞서 싸우고자 을사의병이라고 만들었어요.
을사의병을 왜 만들었나요?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을사의병은 1905·1906년 을사오조약 등 일련의 일제침략을 계기로 일어난 구국항일무력전의 총칭이다. 1904년 러일전쟁이 발발하고 한일의정서·한일협약이 잇달아 체결되면서 반일의식이 전국적으로 고조되어 갔다. 1905년 을사오조약이 강제 체결되자 한국민의 반일감정은 극도에 달하여 전국 각지에서 다시 의병이 일어났다. 원주·제천·단양 등 중부 일대 의병이 가장 먼저 봉기했고 을미의병 때 미처 참가하지 못한 유생과 지사들이 대거 가담하여 전국적인 의병운동이 전개됐다. 1907년 군대해산 후에는 보다 확대·발전하여 최후의 구국항일전인 정미의병으로 이어졌다.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화사전 을사의병
안녕하세요. 이주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905년 을사조약이 맺어지자 최익현(양반 유생), 민종식(전직 관료), 신돌석(평민 출신 의병장으로 유격전 전개) 등이 의병을 일으켜 을사의병이 일어났다.
을사 의병은 최초의 평민 출신 의병장인 신돌석[1]과 머슴 출신 안규홍 등 다양한 신분의 의병장이 나왔다는데 의의가 있다. 최익현은 의병을 진압하러온 군대에 조선인이 있다는 이유로 싸움을 포기하고 쓰시마로 잡혀간 후 순국한다.
을사의병은 1905년 을사늑약 체결에 따라 독립국으로서의
외교권이 일제로 넘어가자 자주권을 상실하게 됩니다.
이를 회복하기 위하여 1905년 양반 유생과 민중이 결성되어 일으킨 항일 무력투쟁입니다.
안녕하세요. 이병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경제&금융 분야, 재무설계 분야, 인문&예술(한국사) 분야 전문가, 지식iN '절대신 등급' 테스티아입니다.
✅️ 1905년 을사조약에 대한 부당성에 대한 표출의 결과로 의병이 조직되어 불합리한 조약을 강요한 일제에 대항하고자 했던 것입니다.
- - - 추가적으로 궁금하신 점은 의견으로 남겨주시면 제가 아는 범위 내에서 성의껏 답변을 드려볼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 -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905년 을사조약 체결이 원인이 되어 일어난 의병으로 1905년 을사조약 체결로 대한 제국의 외교권이 일본에 빼앗기게 되었고 이에 일제의 침략을 규탄하고 조약의 파기를 주장하는 의병활동이 일어나게 되었습니다.
장도연이 추천하는 아하!
앱으로 편리하게 사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