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즐거운가오리188
즐거운가오리18823.08.20

조선시대에는 국가에서 불교를 탄압했는데 무슨 이유로 탄압을 한건가요?

조선시대에는 억불숭유정책을 펼쳐서

불교를 탄압했다고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유교가 종교같은 것이 아니니

불교와 함께 갈 수도 있던 문제인 것 같은데

왜 굳이 국가에서 불교를 억압했나요?

유교와 불교의 교리가 상충되는 어떤 것이 있어서

탄압을 한 것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8.20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숭유억불(崇儒抑佛)은 불교 교단의 세력을 강제로 축소시키고 약하게 유지하기를 목적으로 하는 조선의 주요 국가시책이다. 숭유(유교를 숭상함)라는 단어가 있지만, 포인트는 억불에 있음에 주의. 억불정책(抑佛政策) 또는 배불정책(排佛政策)이라고도 한다.

    유교를 건국이념이자 통치사상으로 숭상한 조선왕조에서 전대 왕조인 고려의 국교였던 불교를 억압한 정책입니다.

    고려 초기부터 불교는 귀족이나 지배층과 연계되어 막강한 교세를 누렸다. 고려 말기에는 "사찰이 광대한 토지를 소유하고 소작민들을 부렸다"는 기록이 있고 승려들이 권력을 부리거나 재산을 축적하여 고리대금업을 일삼는 일이 많았다고 한다. 고려 초기 때부터 불교의 폐단을 막으려던 지눌, 의천 등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불교는 세력이 강해졌습니다. 그래서 신진사대부는 성리학을 주장하고 불교를 억제하며, 불교계가 소유한 재산을 축소하려고 했습니다. 정도전이 '청렴해야 할 승려가 재산을 축내는 일이 많아졌다.'고 비판한 기록이 있습니다.

    조선의 신진사대부는 불교의 세력을 억제하여 불교가 가진 토지 등을 개혁하였습니다. 불교세력을 청산하는 것이 필수적 절차인 것이었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은 건국이념이자 정치철학으로 성리학을 바탕으로 한 국가였습니다. 불교가 고려의 국교였기 때문에 권력을 가지고 있던 권문세족을 견제하기 위해서 유교인 성리학을 숭상하고 불교를 배척하는 숭유억불책을 쓰게 된 것입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을 개국한 태조 이성계는 고려의 귀족 세력을 경계하고 제거하기 위해 그들이 추숭했던 불교를 견제, 무엇보다 역성 혁명으로 세워진 조선으로서 부패한 불교와 춘추대의의 성리학이라는 기치는 새로운 나라의 건립을 합리화하기 좋은 명분이었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은 고려 시대 불교 세력의 부패 등을 지적 하며 그 불교와의 갈등 속에서 탄생했기 때문에, 불교는 왕권에 위협적인 존재로 여겨졌습니다. 그래서 조선은 불교를 억압하고 유교를 받아들여 왕권을 강화하고자 했지만 사실 조선의 태조 이성계도 불교 신자 인것으로 보아 정신적으로 불교를 완전히 배척 하지는 못했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박정욱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시대에 불교가 탄압당한 이유는 다양한 사회, 정치, 문화적인 요인으로 설명됩니다. 이러한 이유들은 조선 왕조의 정책, 사회적 변화, 역사적 배경 등으로 인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입니다.

    1. 유교 중심의 국가 체제: 조선시대에는 유교가 중요한 국가 체제의 기초가 되었습니다. 조선 왕조는 유교를 중심으로 한 정치 체제를 구축하고, 유교 사상을 통한 사회 질서와 국가의 안정을 유지하기 위해 노력했습니다. 이에 따라 불교는 유교와 대립하거나 경쟁하는 위치로 인식될 수 있었습니다.

    2. 고려시대의 영향: 조선시대의 초기에는 불교가 고려시대의 왕실과 귀족계층의 지원을 받아 번영한 시기가 있었습니다. 그러나 조선이 설립되면서 귀족 계층의 변화와 함께 유교 중심의 국가 체제가 강화되며 불교는 그 영향력을 점차 상실하게 되었습니다.

    3. 사회적 변화와 불교 타당성의 감소: 조선시대에는 선비나 양반 계층이 유교 사상에 기반한 관습과 행동을 강조하였습니다. 불교는 이와는 다른 형태의 종교 실천을 요구하였기 때문에 불교의 타당성이 사회적으로 감소할 수 있었습니다.

    4. 경제적 요인: 조선시대에는 불교 신자들이 사찰에 재산을 기부하여 경제적인 지원을 하였습니다. 이는 국가의 세입에 영향을 미치기도 했으며, 국가는 이러한 재산과 자금의 흐름을 제한하려는 경제적인 동기도 있었습니다.

    이러한 이유들로 인해 조선시대에 불교는 탄압되거나 제한적인 지위를 갖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이는 모든 시기와 지역에 일관되게 나타난 것은 아니며, 특정 시기나 지역에 따라 불교의 상황은 다양하게 변화하였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