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에 비해서 집값의 상승속도는 어떨까요?
물론 부동산의 가격이야 침체기는 있었지만 계속 오르는 것 같은데요, 과거 10년이 비해서 집값의 상승속도는 어땠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과거 10년간의 집값 상승 속도는 이전 주기보다 더욱 가파르게 나타났으며, 특히 최근 몇 년간의 상승은 저금리와 대출 증가 등으로 인해 더욱 두드러졌습니다
특히 서울은 공급이 부족하고 똘똘한 한채를 선호하다보니 상급지는 더욱 많이 올랐습니다
앞으로도 이러한 양극화 현상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특히 주거 선호도가 높은 지역의 집값은 계속해서 상승할 가능성이 높으며, 외곽 지역은 상대적으로 정체될 수 있습니다
또한, 정부의 부동산 정책과 금리 변동 등이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대한민국 부동산의 경우 전부가 다 같은 그래프는 아니지만 통상적으로 인기 있는 지역의 인기 아파트의 경우 10년전에 비해서 약 3배가량 상승을 최고점을 찍었고 현재는 조정이 되어 하락을 했지만 그래도 10년전에 비해 2배 이상 상승을 통상적으로 많이 했습니다. 물론 저 평가되었거나 거품이 낀 지역의 경우 최다 상승을 하고 하락을 하여도 10년 보다는 상승을 한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금리가 낮게 형성이 되고 경기 활성화 시대에는 서서히 상승을 하게 되었고 특히 문재인 정권 말미 영끌 족들까지 가세 하면서 최대점을 찍었다가 글로벌 물가 상승을 막기 위해서 금리를 올리자 거품이 빠지면서 부동산 등이 갑자기 급락을 하게 되었지만 인기 있는 부동산은 그 하락이 적고 비인기지역의 경우는 하락폭이 큰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즉 양극화 현상이 나타나게 된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답변드리겠습니다.
2014년부터 2021년까지 8년동안 서울 아파트 가격은 약 80% 상승 했습니다. 이 기간 동안 연평균 상승률은 10%에 달했습니다.
통계 수치상 위와 같고 일반 시민들이 체감하는 수준은 서울과 수도권 기준으로 적어도 2배 ~ 3배 이상 상승한 곳도 많습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영관 공인중개사입니다.
질문에 답변드리겠습니다.
과거 10년을 기준으로 보면, 집값 상승 속도는 분명히 차이가 있었습니다. 2013년부터 2016년까지는 금리가 낮아지고 정부의 부동산 부양 정책이 나오면서 서서히 집값이 오르기 시작했는데, 이때는 연평균 2~4% 정도 완만한 상승세였어요. 집값이 오르긴 했지만, 지금처럼 급격하진 않았죠.
그런데 2017년부터 2021년까지 문재인 정부 시절에는 상황이 완전히 달라집니다. 저금리와 풍부한 유동성, 갭투자, 재건축 기대감 같은 요인이 겹치면서 집값이 정말 가파르게 올랐어요. 서울 아파트값은 1년에 15% 이상씩 오르기도 했고, 누적 상승률로 보면 강남권이나 주요 수도권 지역은 거의 2배 이상 오른 곳도 많습니다. 과거 20~30년을 통틀어도 이 시기의 상승 속도가 가장 빨랐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2022년부터는 금리 인상과 경기 둔화로 집값이 하락세로 전환됐는데, 이때는 일부 지역에서 10~15% 정도 하락하는 등 조정기가 왔죠. 다만 2023년 하반기부터는 다시 바닥을 찍고 반등하는 지역이 늘어나고 있는 상황이에요. 예를 들어 서울 일부와 수도권 인기 지역 위주로 거래량이 늘고 가격도 회복세에 들어섰습니다.
정리하면, 2017~2021년의 상승 속도는 역대급으로 빠른 편이었고, 지금은 그때만큼은 아니지만 반등 국면에 접어들면서 다시 오르기 시작하는 단계라고 보시면 돼요. 장기적으로 보면 부동산은 결국 우상향해왔기 때문에, 현재 타이밍에 대한 고민은 금리와 경기 상황, 정부 정책 변수를 함께 고려하는 게 좋습니다. 참고하세요!!
1명 평가안녕하세요. 공인중개사입니다.
과거 10년동안 서울 아파트 평균 가격은 124% 정도 상승하게 되었습니다. 현재는 21년이후 고금리와 대출 규제로 인한 집값상승세가 둔화되었습니다.
1명 평가물론 부동산의 가격이야 침체기는 있었지만 계속 오르는 것 같은데요, 과거 10년이 비해서 집값의 상승속도는 어땠는지 궁금합니다
==> 현재 상황에서 집값 상승속도는 완만히 상승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현재까지는 급등한 적이 없지만 문재인 정부 3년차 이후는 급등하였던 사례가 있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주택가격상승률은 과거 지표상 특정시기에 급격한 상승세가 나타난 경우가 있고 대체적으로는 완만하게 상승되는 모습니다, 물론 하락시기도 겪기 때문에 일정한 파동에 따라 우상향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고, 전반적인 우상향기울기는 점차 완만해지는 모습니다. 이는 주택가격상승이 나타나더라도 이전보다는 상승세가 크지 않아진다는 의미인데, 지속적인 인구감소추세와 주택공급의 증가등으로 인한 이유가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현재 서울 상급지와 다른 지방도시내의 주택가격 양극화에 따라 서울 상급지에서는 상승세가 더 뚜렷하고 높게 나타내는 반면, 지방도시에서는 점차 보합세로 이어지는 모습을 나타내거나 일부지역에서는 우하향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즉 전체적인 상승속도는 둔화되었지만 지역간, 매물간 상승속도는 점차 차이가 커지고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